뉴스
"님"(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책을 만나다(1)] “아이가 질문을 잘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22
- 있다면? ▲지금 어른들을 조금 다릅니다. 급격한 산업 발전 세대에 살아왔습니다. 부모님 세대가 겪지 못했던 산업화 시대를 개척하면서 고민하고, 질문하고, 결정하면서 인생의 주인공 역할을 많이 했습니다. 기회도 많았고요. 요즘 부모들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아이의 인생에 너무 많은 개입을 ... ...
- [개소리칼럼] 한밤 중에 개가 갑자기 열이 나며 구토를 합니다. 사람 해열제 조금 먹여도 될까요?동아사이언스 l2017.03.25
- 않을지 걱정이 됩니다. ● 동물 실험을 거쳐 동물에게 먹여도 되는 약? 저희 집 개님이 설사를 심하게 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이런 저런 정보를 찾아보던 중 어린 아이들이 먹는 설사약을 반으로 쪼개 먹이면 효과가 바로 나타난다는 이야기를 보았습니다. 아마 함께 사는 개가 아파서 정보를 ... ...
- [개소리 칼럼] 개 마사지를 직접 해주면 건강에 도움이 될까요?동아사이언스 l2017.03.11
- 거지요. 썩 유쾌하진 않지만 일단은 참는 중이다(feat. 개) - GIB 제공 저희 집 개님의 옐로카드는 확실합니다. 으르렁거립니다. 한 번은 길을 가다가 누군가 집어던진 후라이드 치킨 조각을 먹어서 야단을 치며 주둥이 안에 있는 치킨을 꺼내려고 했는데 으르렁 거리면서 이를 드러냈습니다. 이 ... ...
- [개소리 칼럼] 개 친구 만들어 반려견 놀이터 놀러가자동아사이언스 l2017.03.04
- 해도 안옵니다. 보이지않는 저 너머에서 친구가 오는 것을 알고 기다리고 있는 저희 집 개님입니다. ● 개 친구와 어디서 놀면 좋을까 하지만 개 친구를 만난다고 해도 도시에서 함께 놀 장소는 마땅치 않습니다. 이미 개 친구를 만들어 놀게 해본 주인 분들은 아시겠지만, 개들이 엉켜서 놀 때 ... ...
- [개소리 칼럼] 강아지 발톱이 길어서 닿을 때 아파요!동아사이언스 l2017.02.25
- 15kg, 일반적으로 집안에서 키우는 반려견 크기는 아니죠), 무엇보다 아픈 이유는 개님의 발톱 때문입니다. 고양이와 달리 개는 발톱이 항상 밖으로 나와 있습니다. 본견(?)은 나름 ‘툭’ 친다고 친 것이지만 딱딱한 발톱이 긁히면서 상당히 아픕니다. 거칠고 두터운 청바지를 입고 있어도 아플 ... ...
- ‘개미 엉덩이로 변장하는 벌레’ 발견팝뉴스 l2017.02.21
- 것처럼 위장하는 이 새로운 딱정벌레 종은 2014년 코스타리카에서 발견되었다. 학명은 님피스터 크로나우에리. 개미허리 부분을 꽉 물어서 엉덩이인 척 하는데 이로써 개미를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고 또 천적으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숨길 수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 [개소리칼럼] 아이가 개 약을 먹는 사고가 생각보다 자주 일어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2.19
- 꺼내 먹을 수도 있습니다.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시지요? 그게 또 일어납니다. 처음 개님을 집에 들인 뒤 온갖 키워드를 사용해 검색을 할 때였습니다. 한 블로그 글이 제 관심을 끌었지요. 심장사상충약을 미리 여러 개 사뒀는데 외출한 사이 키우던 개가 약을 둔 곳을 찾아 약을 다 까먹었다는 ... ...
- [개소리 칼럼] 중성화 수술, 꼭 해야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2.12
- 수캐가 쫓아와 식은땀을 흘려본 적이 있습니다. 왕복 6차선의 큰 도로를 지나야만 저희 개님을 쫓아올 수 있었는데, 그 큰 도로조차 그 수캐에게는 위협이 아니었던 모양입니다. 이웃 개들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수술이 필요했습니다. 중성화 수술은 산책할 떄 목줄처럼 필수적인 요소는 ... ...
- [개소리칼럼] 붕가붕가 강아지 마운팅, 해결법은?동아사이언스 l2017.02.04
- ‘멈춰’, ‘기다려’ 등을 미리 학습해 두면 좀 더 유용합니다. ▲ 저희집 개님은 ‘하지마’ 명령으로 행동을 제지할 수 있습니다. ⑤ 질병이 있을 경우 아주 드문 경우인데, 비뇨기 계열 질환이 있을 경우에도 마운팅을 합니다. ①에서 ④까지의 경우를 봐도 도무지 모르겠다면 가까운 동물 ... ...
- [ESC의 목소리(9)]과학계에서 ‘소수’로 산다는 것은?2017.02.02
- 연구에서 불이익을 받았다거나 하는 경험은 다행히 저에게는 없었습니다. 선배님들이 이미 앞서서 경험해왔고 개선해왔기 때문일 것입니다. 종종 여성과학자로의 삶은 어떠한지에 대한 질문을 받습니다. 그 질문에 “여성 과학자로 사는 것은 소수로 사는 것과 같아요”라고 대답합니다. 우리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