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뉴스
"
더듬이
"(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충격! 개구리 잡는 벌레 등장
2016.04.16
애벌레들의 개구리 공격은 거의 100%의 성공률을 자랑했는데요. 그들 중 70%의 애벌레가
더듬이
및 입 주변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개구리를 유인했다고 합니다. 이 애벌레를 삼켰다가 뱉어낸 개구리도 몇 마리 있었으나 결국은 먹이가 되어 잡아 먹혔다고 하니 놀라울 뿐입니다. 심지어 어떤 개구리는 ... ...
애벌레 or 달팽이? 좀비 달팽이
2016.03.21
점이 생기고, 거기에 갈색과 초록빛 선이 번갈아 나타나게 되지요. 게다가 가늘었던 큰
더듬이
가 새가 좋아하는 애벌레처럼 오동통한 상태가 됩니다. 여기에 촉수의 움직임까지 더하면 얼핏봐서는 울룩불룩하게 움직이는 애벌레처럼 보이지요. 결국 류코클로리디움에 감염된 달팽이를 본 새는 ... ...
1억 년 동안 싸운 개미들
팝뉴스
l
2016.02.17
미얀마에서 발견한 호박 속에는 두 마리의 개미가 들어 있다. 한 마리를 상대의
더듬이
를 물었고 또 다른 개미는 다리를 물면서 공격한다. 둘은 치열하고 그리고 필사적으로 싸움을 벌이고 있다. 종이 다른 것으로 보이는 개미들은 서식지나 먹이를 놓고 싸우다가 나무 수액에 갇히면서 지금까지 그 ... ...
[누에 논쟁 총정리] 누에는 ‘나방’, 안타깝게도 ‘누에는 날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5.12.24
색…누에 ‘나방’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에는 ‘나방’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더듬이
는 굵은 데다 빗살 모양이고, 색도 단조롭습니다. 앉아있을 때도 몸에 비해서 작은 날개를 세우지 않고 펼쳐 놓고 있습니다. 몸통은 제대로 날수 없을 정도로 통통합니다.
더듬이
, 몸통, 색… 뭘로 봐도 ... ...
복돼지가 활짝 웃고있네요~ 대식세포 속에서
2015.11.27
홈페이지(www.osong-bio.kr)에서 볼 수 있다. 물에 빠진 호리병. 개미 머리에서
더듬이
꽂이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모습. - 오송바이오진흥재단 제공 비상하는 불사조. 국화과에 속하는 루드베키아의 꽃잎이 벌어진 모습. - 오송바이오진흥재단 제공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찾아가는 것이다. 실제로 과일을 찾은 초파리를 잡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다리나
더듬이
에 효모가 붙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류는 발효과정에서 에탄올을 잘 만들고 향기를 더 진하게 만들어주는 효모를 오랜 세월에 걸쳐 알게 모르게 선별해왔다. 하지만 이건 양(강도)의 문제일 뿐 ... ...
확 풀어 준다!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07.03
승자는 부와 명예를 거머쥐었지만, 패자는 야유 속에 살아가야 했습니다. 타르탈리아(말
더듬이
)라고 불린, 이탈리아의 수학자 니콜로 폰타나는 영광과 야유 모두 겪은 경우입니다. 타르탈리아의 어린 시절은 불행했습니다. 고향에 침입한 프랑스군의 손에 아버지를 잃고 자신도 턱이 쪼개지는 큰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머리에서 발현돼
더듬이
대신 다리가 난 것. 대표적인 호메오유전자 돌연변이체들.
더듬이
가 날 자리에 다리가 달린 안테나페디아(오른쪽 위)와 날개가 넷 달린 변이체(오른쪽 아래). - 칼텍 제공 호메오유전자는 초파리(곤충)뿐 아니라 개구리(양서류), 쥐(포유류)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 ...
심장질환 걱정된다면 이 ‘반창고’ 붙이세요
2014.11.24
반창고 모양의 소자 안에 집어넣었다. 곤충이 주변 환경 변화에 민감할 수 있는 까닭은
더듬이
의 융털이 매우 민감한 센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연구진이 이 융털 구조를 모방해 반창고 모양의 소자에 적용한 뒤 체내에서 발생하는 맥파를 측정하자 맥파의 강도가 최대 12배 강해졌다.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확대한 것이다. 새처럼 보이는 부위의 실제 크기는 머리카락 한 가닥과 비슷하다. 이
더듬이
는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어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