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얇을수록 저항 줄어드는 신물질 첫 개발…차세대 반도체 활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전기적 특성 연구를 맡았다. 아주대 연구팀은 후속 연구로 기존 증착법과 달리 박막의
두께
를 원자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오 교수는 "연구를 통해 확보한 신개념 금속 물질은 한계에 직면한 미래 반도체 기술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며 "미래 반도체 산업의 주도권을 선점할 ... ...
기후위기로 북극에 오징어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14
퍼 올렸어요. 퍼 올린 바닷물은 영하 50°C 에서 얼었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해빙의
두께
를 최대 50cm나 두껍게 할 수 있었습니다. 펌프로 물을 퍼 올리고 있는 모습. 리얼아이스 제공 연구팀은 겨울이 끝날 무렵 펌프로 바닷물을 퍼올린 다음 눈으로 만들어 뿌리기도 했습니다. 해빙 위에 눈이 ... ...
눈물은 어떻게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07
제공 우리 눈은 약 3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두께
의 눈물 막이 표면을 늘 덮고 있습니다. 눈물을 이루는 물은 눈을 촉촉하게 유지해 줘요. 눈물 속 단백질과 나트륨 이온 등의 전해질은 눈에 영양분을 전달하고 노폐물을 배출시킵니다. 눈물은 점액층과 수성층, 지방층 3개의 층으로 나눠져 ... ...
2차원 소재와 강유전체 접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황으로 이뤄진 2차원 재료 중 하나다. 얇은 원자층의 구조를 가졌다. 나노 단위의
두께
로도 고유의 물성을 가져 반도체나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 주로 활용된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 없이도 스스로 분극을 가지는 재료다.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적용될 수 있다. HZO는 ... ...
[사이언스영상] 1초도 안돼 익는 '나노스파게티' 어디에 쓸까
SEIZE
l
2024.11.30
UCL) 연구팀이 머리카락보다 200배 정도 얇은 ‘나노 스파게티’ 면을 개발했다. 이 정도
두께
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파게티라고 할 수 있다. 나노 스파게티의 지름은 372nm(나노미터, 10억분의 1m)다. 연구팀은 '전기 방사(electrospinning)'라는 방법으로 나노 스파게티를 만들었다. 전기 방사는 ... ...
누리호 4차발사 D-1년…'2년 반' 공백 문제없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이뤄진 원 형태의 구조물을 '스피닝 장비'를 이용해 얇게 펴서 돔 모양으로 만든다. 덮개
두께
를 위치에 따라 2~6mm 사이에서 미세하게 다르게 만들어야 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최윤호 두원중공업 차장은 "탱크 주재료인 알루미늄은 온도에 따라 잘 변형된다"고 설명했다. 알루미늄 판을 ... ...
안경 쓰면 왜 더 잘 보이게 되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23
렌즈로 망막 뒤에 맞던 초점을 앞으로 당겨서 더 잘 보이게 하는 원리입니다. 렌즈의
두께
와 굽은 정도에 따라 빛이 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안경을 맞출 때 시력 검사를 통해 렌즈를 얼마나 오목하게 만들지 혹은 얼마나 볼록하게 만들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1월 1 ... ...
시력교정 수술도 '개인맞춤형'으로…알콘 '퍼스널 아이즈'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이라는 알콘의 새로운 진단 장비로 환자눈의 정보를 확인한다. 각막의 전·후면 형태와
두께
, 수정체의
두께
, 안구의 깊이, 각막의 표면부터 망막 중심까지의 길이(안축장)를 측정한다. 기존에도 이 수치들을 확인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여러 개의 기기를 사용해야 했다. 반면 사이트맵은 모든 ... ...
"울릉도는 활화산…백두산과 동일한 맨틀에서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1.20
유사했다. 두 화산이 거의 동일한 맨틀 성분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판의
두께
가 얇아진 북동아시아 지역에서 하부의 연약권 맨틀이 상승해 상부에 있는 암석권 맨틀과 상호작용해 마그마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울릉도 화산가스를 분석한 이번 연구는 ... ...
빛만으로 건강 모니터링하는 무선 웨어러블 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편의성 개선을 위해
두께
를 극한으로 줄인 초박막형 센서 시스템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두께
4μm 초박막 기판 위에 유기 트랜지스터와 근적외선 무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μLED)를 통합한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바이오마커의 농도에 따라 변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가 μLED의 밝기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