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개
주선
중간
간접
매체
수단
방편
뉴스
"
매개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독성 수컷으로 '감염병
매개
암컷 모기' 줄인다
SEIZE
l
2025.01.1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수컷 모기와 짝짓기한 암컷의 수명을 줄이는 기술이 나왔다. 수컷 모기의 정액에서 독이 생산되도록 유전자를 변형하는 '독성 수컷 기법(TMT)'이다. 정액을 몸에 흡수한 암컷은 수명과 질병 확산 능력이 크게 줄어든다. 호주 맥쿼리대 응용생물학과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 ...
소뇌에 통증 비밀이…"새 통증 치료법 개발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통증 행동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회로는 소뇌 교세포의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매개
한다. 연구팀은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을 차단하면 통증 반응이 억제된다는 점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급성 통증뿐 아니라 신경 손상으로 유발되는 신경병증성 통증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했다. ... ...
버려지는 페트병 영구 재활용 가능한 바이오촉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잡지 못했다. 연구팀은 자연환경에서 나무가 썩는 과정처럼 바이오촉매가 분해 반응을
매개
하는 생물학적 재활용에 주목하고 PET플라스틱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는 고성능 바이오촉매(효소)를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바이오촉매는 PET에 선택적으로 반응하고 순수한 반응물을 생성하는 등 ... ...
줄기세포 행동 원격 제어하는 '수학적 모델링'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피브로넥틴, 라미닌, 콜라겐 등 단백질 내의 세포 부착을
매개
하는 물질이다. 세포외기질은 조직과 기관의 기능을 유지하게 할 뿐 아니라 손상된 기관과 조직을 복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세포외기질 네트워크의 동적 재구성과 연결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 ...
원형 형태 RNA로 표적 유전자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끊임없이 관리한다. 가장 대표적인 mRNA 품질 관리 메커니즘은 ‘논센스 돌연변이
매개
mRNA 분해(NMD)’다. 연구팀은 NMD가 원형 RNA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NMD를 활용해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점도 규명했다. DNA에서 만들어진 RNA는 스플라이싱을 ... ...
피부에 좋다는 콜라겐, 암 전이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마우스(인간 세포나 조직을 이식한 쥐)을 대상으로 디스에드헤린과 MMP9 간 신호전달
매개
를 통한 콜라겐 리모델링이 면역 억제 및 혈관 신생을 촉진해 암세포 친화적 종양 미세환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는 디스에드헤린에 의한 종양 미세환경 변화가 ... ...
'고농도 상태' 작용 전해질 기반으로 암모니아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암모니아 생산 연구가 활발하다. Li-NRR은 리튬 배터리로도 친숙한 원소인 리튬을
매개
로 비수계 조건에서 질소를 환원해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대기 중 풍부한 질소 기체(N2)는 질소 2개가 삼중결합으로 붙어있어 반응성이 큰 리튬을 전극에 도금하면 강한 결합을 끊고 암모니아를 생산할 ... ...
"5대강 유역 주민, 100명 중 5명은 장내기생충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장흡충 감염률은 1.9%, 편충 0.2%, 참굴큰입흡충은 0.1%였다. 간흡충, 장흡충 등은 식품
매개
기생충이다. 주로 자연산 민물고기 생식으로 감염된다. 질병청은 "지방자치단체와 2005년부터 강 유역 주민을 대상으로 식습관 개선 홍보 등 관리사업을 진행해 전반적으로 기생충 감염률이 낮아지긴 했으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잦아진 대형 산불, 생물다양성에 악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11.30
개별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분석 기법을 적용해 산불이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매개
변수를 파악했다. 분석 결과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지난 40년 간의 산불 발생 횟수였다. 산불이 자주 발생할수록 생물다양성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모두 증가했다. 또 열대우림과 포유류가 산불의 ... ...
[동물do감] 꽃과 꿀로 '디저트' 즐기는 늑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꽃을 찾는다는 보고가 있었다는 것이다. 에티오피아 늑대가 나비와 꿀벌과 같은 수분
매개
자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늑대가 꿀을 먹는 행동은 식물에게 장점보다 단점이 더 클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팀은 "늑대는 때때로 흥분하는 행동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