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동체
트렁크
구간
신체
체격
전신
뉴스
"
몸통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편식 강요하는 무늬만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2022.10.12
선택과목을 맞춤형 교육을 위한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멀쩡한 생선을 머리‧
몸통
‧꼬리의 세 토막으로 잘라놓고 어느 것을 먹고 싶은지를 결정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선택’이라고 할 수 없다. 생선의 머리만 맛보고 생선 맛을 배웠다고 착각하게 만드는 코끼리 다리 만지기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공부화한 바다거북 해양 방류 동행기..."또시 옵서양!"
과학동아
l
2022.10.08
현재 바다거북 33마리를 보호하고 있다. 제주=김소연기자 lecia@donga.com 성인 남성의
몸통
보다도 더 큰 바다거북이 헤엄치는 수조 가까이에 쪼그려 앉았다. 먹이를 들고 있지도 않았는데, 거북이 적극적으로 다가와 고개를 쳐들었다. 조 주임은 “유독 사람을 더 당기는 성격인 녀석”이라며 “종마다 ... ...
태양의 서커스인 줄…호주 거미, 기막힌 곡예로 개미 사냥
연합뉴스
l
2022.09.20
나무 위에서 거미의 사냥 모습도 촬영한 결과, 거미는 1천분의 1초의 속도로 개미의
몸통
위로 몸을 홱 젖히는 곡예를 펼친 뒤 개미에 거미줄을 붙였다. 논문 공동저자인 마리 허버스타인 매쿼리대 행동생물학과 교수는 "이 거미는 마치 액션 영화의 스턴트맨 같다"면서 "스파이더맨처럼 거미줄을 ... ...
몸통
만 4m 대왕오징어 사체 뉴질랜드 해변서 발견
연합뉴스
l
2022.09.14
사는 대왕오징어가 해변으로 밀려 올라오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며 "대왕오징어
몸통
전체가 올라오는 경우는 저인망 그물에 걸린 것을 놓아주었을 때 일어날 수 있고 일부분이 올라오는 경우는 향유고래가 잡아먹다 남은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대왕오징어 맛을 좋아하는 ... ...
인류 달 복귀 첫발 '아르테미스' 오늘 밤 첫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13호의 무사 귀환을 이끈 우주인 ‘아르투로 캄포스’의 이름을 딴 남성 마네킹과
몸통
만 존재하는 여성 마네킹 2점이 실린다. 달과 함께 지구를 공전하며 달의 표면에서 물과 자원을 탐사하는 등의 역할을 맡은 10개의 큐브샛도 실린다. SLS가 발사된 후 80~90분이 지나면 오리온이 달로 향하는 ... ...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2022.07.30
한 사람은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원자력 생태계를 나무에 비유한다면 이들은
몸통
이다.
몸통
에서부터 줄기로 갈라져 산업계와 학계의 나뭇잎이 되기 때문이다. 인터뷰 후 그들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했다. 재완, 성민씨가 원자력공학을 고른 이유 조재완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 ...
"원숭이두창 사례 95%, 성접촉에 따른 감염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7.25
106명(20%)이었다. 이어 피부 병변이 가장 많이 나타난 부위는 성기 주변(73%)이었다.
몸통
, 팔, 다리(55%)와 얼굴(25%)에도 병변이 나타난 사례가 많았으며, 손바닥과 발바닥(10%)은 상대적으로 사례가 적었다. 피부 병변이 나타난 감염자의 60% 이상은 병변의 수가 10개 미만이었다. 또 54명(11%)는 단 ... ...
격렬하게 나무 쪼는 딱따구리 머리는 안전 헬멧 아닌 망치
연합뉴스
l
2022.07.15
딱따구리가 나무가 아닌 금속을 있는 힘을 다해 쫀다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대개 나무의
몸통
을 쫄 때는 두개골이 헬멧처럼 보호 작용을 하지 않아도 뇌진탕을 일으키는 한계점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 이뤄진다고 밝혔다. 반 바센베르크 교수는 "충격 흡수 장치가 없다고 해서 뇌가 위험에 ... ...
스카이다이버 자세로 나뭇가지 사이서 활공하는 도롱뇽
연합뉴스
l
2022.05.25
풍동(風洞) 실험에서 방랑도롱뇽은 다리를 펼쳐 최대 10%까지 수직 낙하 속도를 줄였으며,
몸통
과 꼬리 등의 꿈틀거림을 통해 비수직적 활공도 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Christian Brow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허파 없이 피부로 호흡하는 양서류인 이끼도롱뇽 수백여 종이 나무를 기어오르는 것은 ... ...
화나거나 슬플 땐 잠을 자야…뇌에서 부정적 감정 희미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5.15
경향이 뚜렷했다. 뇌 신경세포의 구조는 크게 세 부위로 나눌 수 있다. 신경세포의
몸통
인 ‘세포체’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다른 신경세포에서 온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상돌기’가 있고 반대편에는 다른 신경세포에 신호를 보내는 ‘축색돌기’가 있다. 연구팀은 렘수면 중 신경세포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