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선공학"(으)로 총 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진우 IBS 단장, 훔볼트 연구상 수상…정밀 나노의학 확립 공로동아사이언스 l2024.01.25
- IBS 제공 천진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이 ‘훔볼트 연구상’을 수상했다. IBS는 천 단장이 나노의학 연구 선구자로서 이번 상을 수상했다고 25일 밝혔다. 훔볼트 연구상은 독일 알렉산더 본 훔볼트 재단이 매년 자연과학·공학·인문사회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업적을 이룬 ... ...
- 0.6초만에 수소 누출 감지하는 차세대 센서동아사이언스 l2024.01.10
- 수소 센서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소 감지 성능을 확인했다. KAIST 제공 0.6초 이내로 빠르게 수소 누출을 감지하는 수소 센서가 개발됐다. KAIST는 조민승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가 현대자동차 기초소재연구센터 전자기에너지소재 연구팀, 서민호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교수 연구 ... ...
- [과기원NOW] 최진석 KAIST 교수, IEEE서 ‘우수 젊은 연구자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2
- 최진석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지난 4~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세계통신학회에서 국제전기전자공학회 통신 분야 아시아-태평양 우수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하고 있다. KAIST 제공. ■ KAIST는 22일 최진석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무선통신 분야에서의 업적으로, 국제전기전자공학 ... ...
- 와이파이보다 데이터통신 100배 빠른 '전등 빛'동아사이언스 l2023.12.08
-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LED 전등으로 '라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가시광(빛)을 사용해 와이파이(Wi-fi)보다 속도가 100배 이상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광원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정대성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지동우 아주대 지능형반 ... ...
- [나는1저자다] ①"연구 트렌드에 안 흔들려야...현재 처우론 가정 꾸리기 어려워"동아사이언스 l2023.11.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첨단소재기술연구본부 젊은 과학자들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두준 연구원, 배준호 연구생, 김현수 연구원. KIST 제공 [편집자주] 과학자들의 연구성과는 보통 논문으로 공개됩니다. 연구기관의 책임연구원이나 대학의 교수들이 연구를 주도하는 ‘교신저자’ ... ...
- [과기원NOW] UNIST, 딥러닝 활용해 '배터리 건강' 알려주는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11.09
- 임한권 교수, 김동혁 교수, 최윤석 교수(윗줄 왼쪽 원형부터), 정다운 연구원, 박서정 연구원, 임동준 연구원(아랫줄 왼쪽부터).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동혁, 최윤석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및 임한권 탄소중립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딥러닝'을 기반으로 2차 전지의 상태를 점검할 수 ... ...
- 리튬이차전지 안전성 강화·차세대 위산분비차단제…산업기술성과 14선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3.11.01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기술과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위산분비차단제 등이 한국공학한림원이 선정하는 ‘2023년 산업기술성과 14선’에 선정됐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올해 대한민국 산업을 이끈 ̍2023년도 산업기술성과 14선 ̍을 1일 선정‧발표했 ... ...
- [주말N수학] 우주공간에 데이터센터를…우주컴퓨팅 가능성 타진한다2023.09.16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만든 우주 태양광 발전 상상도. NASA 제공 해를 거듭하면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가 올해 7월 중순까지의 온도가 역대 최고라는 관측 결과를 발표하자 UN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지구 온난화 ... ...
- 100만배 정확하게…KAIST, '초정밀 위치 인식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8.08
- 무선 태그를 실험하기 위한 로봇. 로봇 몸체에 가로, 세로 6.6cm인 태그가 부착돼 있다. KAIST 제공 사물인터넷 기기와 로봇의 미세한 움직임까지 조종 가능한 초정밀 위치 인식기술이 개발됐다. 초실감형 확장현실(XR), 스마트팩토리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KAIST는 김성민 전기및전 ... ...
- 집 벽면이 거대한 배터리로...‘시멘트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23.08.04
- 시멘트에 저장된 전기가 흐르는 모습. 사진 출처 MIT 및 PNAS. 집과 같은 건물이나 주차장 벽면·바닥이 전기차 충전, 건물 냉난방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 기술이 개발됐다. 개발된 콘크리트 소재로 만든 건물 벽면이나 바닥이 거대한 축전지(슈퍼커패시터) 역할을 할 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