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계
바깥
밖
우주
뉴스
"
바깥세계
"(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냉난방비 절감·아름다운 외관 다잡은 '친환경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8.16
스탠포드대 재료공학부 제공 에너지 자원을 일상 속에서 효율적으로 절감할 대책으로 태양열 반사율을 높인 '차열 페인트'가 주목받는 가운데 차열·단열 효과에 더해 컬러풀한 색감까지 잡은 페인트가 개발됐다. 이 쿠이 미국 스탠퍼드대 재료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건물 외벽에 칠하기만 해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파지요법을 중심으로 파지 연구의 역사와 전망을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있는 책 ‘착한 바이러스’가 최근 출간됐다. 교보문고 제공 7월 하순 장마가 끝나고 시작된 무더위의 기세가 대단하다. 이러다 보니 되도록 외부 활동을 피하고 남는 시간은 집이나 동네 카페에서 책을 보며 지내고 있다. 아무 ... ...
폭염 이겨내는 간단한 방법…"도시에 '그늘'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7.30
미국의 한 도시에 설치된 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장마철이 끝나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본격 시작됐다. 지난 28일엔 무려 전국 81곳에 폭염특보가 발효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시민들이 무더위를 버텨내려면 도시 곳곳에 '그늘'을 만드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가지 방법들
과학동아
l
2023.06.18
과학동아 제공 ‘따끔’ 손을 씻는데 오른쪽 검지 끝이 아린다. 조금 전 책을 정리할 때 종이에 베인 모양이다. 어젯밤 모기 자국을 긁어 생긴 피딱지가 채 떨어지지도 않았는데, 오늘 아침 여드름을 짜다가 벗겨진 피부가 아직까지 쓰라린데 또 상처라니! 누구나 일상에서 자신도 모르는 새 입게 되 ... ...
인류 vs 모기, 최후의 승자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 피를 빨아먹고 각종 질병을 옮기는 대표적인 해충, 모기. 모기가 지구에서 사라질 수는 없는 걸까. 과학자들은 인류를 지키기 위해 오랫동안 모기와 팽팽한 싸움을 벌이고 있다. 그런데 모기가 사라지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 불임 모기로 퇴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어 가슴이 왜 이렇게 두근거리지?’ 카페인에 민감한 편이라 커피를 아침, 점심 두 잔만 마시는데 그날은 오후 서너 시에 한 잔 더 마셨다. 일이 잘 안 돼 자료를 들고 카페에 갔는데, 커피 향에 끌려 충동적으로 핸드드립커피를 시킨 것이다. 밤에 잠을 생각해서 반만 마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세균(박테리아)에 의한 감염병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대두 유사 이래 사람과 세균(박테리아)은 함께 살아 왔다. 사람 피부에 붙어 있는 세균은 비누칠을 하고 샤워를 하면 대부분 떨어져 나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보통 때는 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등학교 1학년 때 화학 선생님은 젊고 의욕이 넘치는 분이었는데 그래서인지 화학의 기본은 주기율표라며 외우는 요령까지 알려주셨다. 열심히 따라했음에도 다 외우지 못했고 심지어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했음에도 오히려 기억 속의 주기율표는 부실해졌다. 그럼에도 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20세기 중반 면역학이 발전하면서 공여자와 수혜자의 면역학적 유사성이 이식 수술의 성패에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수천년 전부터 시작된 이식술 장기 이식은 20세기 중반에야 가능해졌지만 성형수술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고대 이집트에서 볼 수 있다. 기원 ... ...
[프리미엄리포트] 10년간 힉스 입자 1000만개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12.17
힉스 입자의 발견은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201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힉스 입자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예측한 피터 힉스와 프랑수아 앙글레르가 선정되었다는 발표에 환호하는 CERN 과학자들. 과학동아 DB 2012년 7월 4일 세계 과학계가 뜨거운 흥분에 휩싸였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