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뉴스
"
번식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⑥ 씹지 않아도 되는 고기에 분말 죽까지…'고령친화식품'의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있는 물의 양을 지표로 나타낸 '수분활성도'를 조절해 방부제가 없지만 1년 동안 세균이
번식
하지 않아 유통될 수 있도록 제품을 만들었다. 소비자들이 죽을 만드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푸른가족의 제품을 넣기만 하면 죽이 제조되는 기계도 개발했다. 푸른가족은 2012년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이 ... ...
과학자가 나서니…생리혈을 젤로 바꾸는 '생리대'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억제하는 향균 물질인 '트리메틸 키토산'도 추가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생리대에서
번식
하면 여성에게 독성 쇼크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브라이언 쉬 버지니아공대 생물학 조교수는 "생리대, 생리컵에 쓰인 분말은 음식에서 유래한 성분이고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과거에 ... ...
'남원 급식 김치 식중독' 미스터리…"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
번식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의해 노로바이러스가 제거된다. 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면 바이러스가
번식
이 아닌 오염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물론 오염됐더라도 김치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살아남기 어려운 환경이다. 하지형 세계김치연구소 안전·소재연구단장은 "김치는 소금에 절이는 과정, 발효 ... ...
뎅기열에 걸리면 열이 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06
해수면 평균 온도가 높아질수록 뎅기열 발병률이 증가했습니다. 뎅기열을 옮기는 모기가
번식
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기 때문이죠. 인도양의 해수면 평균 온도는 30여 년간 점점 올랐습니다. 연구팀은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며 열대 지역이 따뜻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 ...
모기의 '흡혈 욕구' 조절 호르몬 찾아…뎅기열 전파 차단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인간 유인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RY아미드와 NPF가 모기의 행동과
번식
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라며 "호르몬을 통해 모기의 흡혈 행동을 막고 모기 매개 질병 전파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사람의 피를 빨고 있는 이집트숲모기(학명 Aedes aegypti) 암컷. Jena Johnson ... ...
생물의 행동 진화, 세포의 유전자 발현만으로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빠르게
번식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환경에 따라 서식지 이동 능력과
번식
속도 증가가 균형을 이루도록 했기 때문에 두 유형의 유전자가 공존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진화적으로 새로운 형질이 생겨나기 위해서는 특정 세포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만으로도 가능하다는 ... ...
[동물do감] 동물 사체 먹어 양떼 지키는 거대 도마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관찰 기관 동안 히스 고아나 도마뱀 1마리는 1000마리에 이르는 육식성 구더기의
번식
을 방해했다"고 설명했다. 히스 고아나가 실험을 위해 설치된 쥐 사체를 노리고 있다. Tom Jameson 제공 연구팀은 양떼 보호에 도움이 되는 히스 고아나가 멸종 위기에 처한 거대 도마뱀이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 ...
"최후의 매머드 멸종, 근친
번식
탓 아냐"...기존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1~4만 년 전 서식했던 대형 포유류 매머드의 상상도. 위키미디어 제공 과학자들이 매머드의 멸종 직전 마지막 번성기의 비밀을 DNA분석으로 풀어냈다. 개체 수가 줄면서 어쩔 수 없는 근친교배에 따른 해로운 돌연변이가 멸종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는 결론이다. 근친 교배로 인해 ... ...
기후변화로 '단식 기간' 늘어난 북극곰, 2030년대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봄에 더 일찍 발생해 11월에서 1월 사이에 태어나는 새끼 북극곰의 수유기간을 단축해
번식
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제한해야 허드슨만 북극곰들이 생존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강조했다 ... ...
中, 12일 푸바오 공개…외교와 멸종 보호 연구 위해 오고가는 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종
번식
을 위해 중국으로 돌아가야 한다. 판다는 근친교배를 막기 위해 중국이 혈통과
번식
실적 기록을 토대로 계획적인 짝짓기를 시킨다. 푸바오의 경우 아빠 러바오의 외할아버지 판판의 자손이 많아 피가 섞이지 않은 판다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한다. 푸바오는 중국에서 짝짓기를 통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