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량
뉴스
"
변도
"(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60년 수학 난제 '소파 움직이기 문제' 국내 20대 수학자가 풀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백진언 연세대 연구원이 '소파 움직이기 문제'의 답으로 증명한 소파의 모양. 위은 복도 위치를 고정하고 소파를 움직일 때, 아래 그림은 소파의 위치를 고정하고 복도를 움직일 때를 나타낸다. 백진언 제공 국내 20대 수학자가 미국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등장할 정도로 잘 알려진 60년 난제를 해 ... ...
생존율 1% 극복…한국서 가장 작게 태어난 260g '예랑이' 퇴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지난 4월 22일 체중이 260g에 불과한 아기 예량이가 태어났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국내에서 역대 가장 적은 몸무게인 260g으로 태어난 아기 '예랑이'가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엄마 뱃속에서 25주 5일만에 태어난 예랑이가 지난 5일 건강하게 퇴원했다고 12일 밝혔다. 건강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과학동아 제공 한국인은 오랫동안 쌀을 주식으로 삼아 왔다. 밥을 먹어야 힘이 난다는 뜻의 '밥심'이라는 단어도 있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벼를 처음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일까. 충북 청주 소로리에서 발견된 볍씨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이 볍씨들은 약 1만 5000년 전의 것으로 이전에 가 ... ...
세계 최초 목재로 만든 인공위성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전 일본 우주비행사였던 도이 다카오 일본 교토대 교수가 지난달 25일 로이터통신과 인터뷰하며 목재 인공위성 리그노샛 모형을 들고 있다. REUTERS/Irene Wang/연합뉴스 제공 일본이 개발한 세계 최초 목재 인공위성 '리그노샛(LignoSat)'이 우주로 발사됐다. 나무로 만들어진 인공위성은 수명을 다하고 폐 ... ...
큐비트 대신 '큐디트'로 구현한 양자컴, 16차원 계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팀이 빛이 회전할 때 갖는 값인 궤도각운동량을 양자 정보 단위로 활용해 효율적인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인 큐비트(Qubit) 대신 큐디트(Qudit)라는 고차원의 양자 정보 단위를 활용해 양자컴퓨 ... ...
AI로 유전체 데이터 분석해 암 분류…경진대회 수상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 환자 유전체 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학습시켜 암의 종류를 분류하는 경진대회 수상자가 발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월 28일부터 10월 28일까지 진행한 '2024년 생명연구자원 AI활용 경진대회' 수상자를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생명연구자원 공유·활용 ... ...
파킨슨병·ADHD 있으면 뇌 부피 변화…유전자 변이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뇌 질환 발생에 유전자 변이체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됐다. libre de droit/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과 아동기 장애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가 유전자 변이의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 질환의 치료 근거를 찾는 데 통찰력을 더한 연구다. ... ...
깔따구·모기 매개 감염병 확산, 이유는 '강력한 변이'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사람의 피를 빨고 있는 모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남미를 중심으로 퍼져 있던 깔따구(Culicoides paraensis)와 모기 매개 감염 바이러스인 '오로푸치 바이러스'가 지난해 말부터 세계 곳곳에서 심상치 않은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한 논문에 따르면 오로푸치 바이러스 확산 원인은 강력한 변이 ... ...
10배 빠르게 발효시키는 '장류 발효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다양한 발효식품이 발효되고 있는 장독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효소 활성화를 10배 가량 빠르게 만드는 미생물을 개발했다. 된장과 청국장 등 장류 식품의 발효 세균으로 알려진 고초균을 개량한 결과로 전통장류와 양조간장 등 전통 발효 식품의 제조 기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스트레스와 대장암 연결고리는 바로 '장내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스트레스로 장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면 대장암이 악화될 수 있다. 게티티이미지 번호=2162455404 현대인에게 만성 스트레스는 암이나 뇌혈관질환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하지만 사람이 받는 스트레스가 어떻게 암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어지는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중국 과학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