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빗장
vault
나사못
걸쇠
문빗장
벼락
뉴스
"
볼트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에너지 소모량도 줄었다. 기존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소자의 메모리 윈도우가 약 2
볼트
(V)인 것과 비교해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10V 이상의 메모리 윈도우를 기록했다. 이장식 교수는 "단위당 16개의 정보(4비트)를 저장하는 '쿼드러플 레벨 셀(QLC)' 수준"이라며 "0과 1만 표현해 2개의 정보를 담는 ... ...
中, 세계서 가장 밝은 X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중국이 도입을 추진하는 HEPS는 둘레가 1.36km인 원형 파이프(저장링)에서 6GeV(기가전자
볼트
·1GeV는 1억eV)의 에너지로 전자를 가속한다. 이렇게 하면 나노초(ns·10억 분의 1초) 단위로 초고에너지 X선을 생성할 수 있다. 기존 중국이 보유하고 있던 방사광가속기 중 가장 성능이 뛰어난 3세대 원형 ... ...
인체 정전기 이용해 오염수를 식수로 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만드는 것에 주목했다. 보행으로 발생하는 정전기는 경보수준의 빠른 걸음에서 493
볼트
(V‧전압의 단위)의 전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어진 실험에서 보행으로 발생한 정전기는 전도성 고분자 나노로드를 통해 집속되는 것이 확인됐다. 강한 전기장 주변을 지나는 병원체는 전기천공법에 의해 ... ...
접착제 없이 전기로 '찰싹'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흑연 전극 2개 사이에 아크릴아미드 젤을 붙이고 전극 사이에 5
볼트
(V)의 전압을 걸어 직류로 전기를 흘렸다. 전류를 흘린지 3분 만에 양극쪽 흑연과 젤 사이에 강한 접착력이 생겼고 전류를 제거해도 결합은 단단히 유지됐다. 연구팀이 이를 억지로 떼려 하자 젤이 찢어질 ... ...
힉스 발견 LHC 3배 규모 차세대가속기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입자를 대량 생성하고 그 성질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2단계는 양성자빔을 가속해 100테라
볼트
(TeV) 에너지로 입자를 충돌시키고 여기서 발생한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물리 현상을 발견하는 것이 목표다. 이 밖에 양성자를 강한 힘으로 충돌시켜 간접적으로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실험도 예정됐다. ... ...
국내 최초 ‘전기자극’으로 간암 치료…암세포만 타격
동아사이언스
l
2024.02.08
침을 꽂은 후 고압 전기를 쏴 암세포를 사멸하는 치료법이다. 가정용 콘센트 전압인 220V(
볼트
)의 10배 이상인 최대 3000V의 전기를 사용한다. 미국이 개발해 현재 유럽 등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IRE는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 효과가 적은 환자에게 사용하는 신치료기술이다. 국내에서는 보건복지부 ... ...
국제협력으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발'…KIST-LLNL, 고전압 환경 고체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액체 전해질이 적용된 상용 리튬이온전지와 유사한 4
볼트
(V) 이상의 고전압 안정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불소(F)가 치환된 염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고전압에서 불안정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대체해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 ...
원전 방사능 사고대응 로봇, 건설 현장에도 첫 투입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암스트롱의 팔도 함께 똑같이 움직이는 방식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고중량 파이프 및
볼트
조립, 드릴링 작업부터 전기 커넥터 연결과 같은 섬세한 작업도 가능하다. 2023년에는 원자력발전소에 투입돼 방사선 누출 차단 작업 등을 수행하는 등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치기도 ... ...
그래핀으로 반도체다운 반도체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가해지는 저항이 낮아 반도체 작동 속도가 훨씬 빨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0.6전자
볼트
(eV)의 밴드갭이 관찰됐다. 이는 지금까지 그래핀에서 관찰된 밴드갭 중 가장 큰 값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그래핀 반도체에 대해 "현재 나노 전자공학에서 사용되는 데 필요한 모든 특성을 ... ...
무게 대비 34배 강한 힘 내는 '인공근육'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구성된 인공근육 소자를 개발했다. 전기에 반응해 힘과 움직임을 발생시키며 0.01
볼트
(V) 이하의 초저전력 환경에서 구동한다. 저전력에서도 무게 대비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인공근육 전극 표면에 유기 분자를 결합해 만든 골격 구조체를 결합했다. 실험 결과 머리카락 정도로 얇은 18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