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우자
짝
배필
내외
반려자
동반자
안팎
뉴스
"
부부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리 퀴리는 머리가 나빴다?...최고 과학자들 둘러싼 진실
과학동아
l
2023.05.20
인공적인 방법으로 원소를 다른 원소로 바꾸는 데 성공했던 것이다. 1935년 졸리오-퀴리
부부
는 이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이렇게 해서 퀴리 가문의 노벨상 메달은 모두 5개가 된다. 퀴리 가문의 다섯 개의 노벨상은 진실! ※관련기사 과학동아 5월, [과학사 극장] 마리 퀴리는 머리가 ... ...
[주말N수학] 수학자가 사람 살리는 '수리생물학'에 빠진 사연
수학동아
l
2023.04.08
아내는 전경아 대전과학고등학교 수학 교사다. 수학교육과 출신인 수학자, 수학 교사
부부
는 뭔가 특별한 수학 교육 비법을 갖고 있지 않을까. 가족들을 인터뷰했다. Q. 아빠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딸 "맥북, 논문이요. 거실에 아빠 전용 1인용 소파가 있는데, 맥북으로 논문을 ... ...
아들·딸 선택 인공수정 기술 나와...윤리 논란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무거운 정자로 수정하면 원하는 성별의 아기를 가질 수 있는 원리다. 연구팀은 실제
부부
105쌍을 대상으로 이 기술을 도입했다. 성별 선택의 정확도가 약 80%로 나타났다. 59쌍이 딸을 원했는데, 인공수정 시술 292회 중 231회(79%)에서 원하는 성별의 배아를 얻었다. 아들을 원한 46쌍에서도 인공수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인류가 습득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이 아니었을까. 1959년 보이세이 화석 발견 당시 리키
부부
의 생각이 맞았을 거라는 말이다. 사실 이듬해 하빌리스 화석을 발견하지 않았다면 이들은 보이세이가 올도완 석기를 만들었다고 주장했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진정한 호모 하빌리스, 손재주가 있는 ... ...
태양전지 효율 높인 공학자들 '엘리자베스 여왕 공학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08
효율을 25%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에서 함께 연구하던
부부
연구자인 자오 박사와 왕 박사는 2006년 중국으로 귀국해 중국 서너지라는 태양전지 기업을 설립했다. 이 회사는 전 세계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중국 태양전지 산업을 구축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 ...
"배우자 있는 것만으로 혈당 낮추는 데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수치를 측정하고 있는 노
부부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배우자와 함께 사는 사람들은 관계가 좋든 나쁘든 상관없이 결혼 생활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상대적으로 낮은 혈당 수치를 유지해 더 건강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서린 포드 미국 칼턴대 박사후 연구원 연구팀은 이같은 ... ...
[주말N수학] 필즈상 허준이 父 허명회 교수 “듣는 능력이 중요”
수학동아
l
2023.02.04
부모의 가치관과 지식을 자연스레 전수하는 대화를 하면서 가장 잘 습득된다. 맞벌이
부부
였던 허 교수는 일로 바쁜 시기에도 이틀에 한 번 꼭 가족 다 같이 저녁을 먹었고, 주말은 온전히 ‘아들과의 시간’으로 정해 함께 시간을 보냈다. 그러면서 대화를 늘리기 위해 가정에서 가구 배치를 ... ...
‘사랑의 호르몬’ 없어도 애착관계 형성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일반적인 초원 들쥐
부부
와의 차이를 관찰했다. 옥시토신 분비를 막았지만 초원 들쥐
부부
의 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를 교정한 초원 들쥐들은 여전히 애착관계를 유지했다. 짝의 털을 손질하고 서로 웅크리면서 체온을 공유했다. 어미 초원 들쥐는 새끼가 젖을 떼는 시기까지 수유를 ... ...
발달장애 위험 높다는 시험관 아기…"학업 능력 차이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명 ‘시험관 아기’라 불리는 체외수정은 많은 난임
부부
들의 임신 성공률을 높이는 데 사용되고 있다. 안시아 린드퀴스트 호주 멜버른대 연구원 연구팀은 호주 4~9세 아동 4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체외수정이 취학연령 아동의 학업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 ...
난임
부부
에 희소식...정자를 난자로 끌어들이는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위키피디아 제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에서 난임치료를 받은 환자는 22만2288명이다. 2017년과 비교하면 불과 5년 만에 환자가 20% 가량 증가했다. 임신이 되지 않는 원인이 생물학적으로 뚜렷한 불임과는 달리 난임은 특별한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상태로 장기 치료를 받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