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뉴스
"
분리도
"(으)로 총 2,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튬 농도 42배 높이는 리튬 추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지질연 연구팀이 개발한 ‘고효율 리튬 추출 기술’로 회수한 리튬 침전물. 지질연 제공 리튬 농도가 낮은 저급 염수에서 리튬 농도를 42배 증가시킬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리튬 추출 기술이 개발됐다. 염수 리튬 자원의 상용화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컴퓨터 폴더처럼 파일 분류·수정…차세대 DNA저장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DNA는 생물체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천연 저장장치'다. DNA를 이루는 염기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사이토신(C) 4종류가 있으며 서로 다른 염기가 늘어선 서열에 따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유전물질인 DNA에 정보를 저장하고 다루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 ... ...
니켈·백금 찾으러 소행성으로…자원 채굴 우주선 '오딘' 최초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오딘 이미지. 아스트로포지 제공 채굴 가능한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한 최초의 탐사선 '오딘(Odin)'이 발사된다. 지금껏 행성의 채굴 가능성을 비롯해 여러 임무를 수행하는 탐사선은 있었지만 채굴 가능 소행성 확인을 최우선 목표로 내건 탐사선은 오딘이 처음이다. 미국의 소행성 채굴 스타트업 ... ...
佛 인공태양 최장시간 1억℃ 달성?...“5000만℃ 운전 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프랑스 원자력및대체에너지위원회(CEA) 핵융합 실험장치 ‘WEST’가 지난 12일 5000만℃에 도달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CEA 제공. 지난 20일 프랑스에 있는 핵융합 실험장치가 1억℃에서 1337초 동안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했다는 국내 보도가 이어졌다. 확인 결과 5000만℃에서 플라즈마를 유지한 것으로 나 ... ...
방사성폐기물 속 우라늄 흡착·회수 고성능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이 우라늄 흡착 성능이 우수한 신소재를 개발했다. 원자력연 제공 방사성폐기물에 들어 있는 우라늄은 일반적으로 흡착제를 사용해 추출되며 흡착제는 대부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우라늄 흡착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경제적·친환경적인 신소재를 개 ... ...
손상에도 스스로 회복하는 스마트 고분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김태안 KIST 전자파솔루션융합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의 연구가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9일자(현지시간) 게재됐다. 뒷 표지(Back Cover) 논문으로 선정됐다. KIST 제공 손상된 부위를 스스로 회복하고 사용 후에는 플라스틱 혼합물 속에서 잘 ... ...
우크라이나 전쟁 3년…난리통에도 연구 보조금 끊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5.02.22
안드리 체르난스키 제공 2022년 2월 24일 오전 4시 50분(현지 시간). 러시아가 국경을 맞대고 있던 우크라이나 동부를 침공했다. 그로부터 3년이 흘렀다. 전쟁은 여전히 계속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오늘을 산다. 우크라이나의 생리학자 안드리 체르닌스키와의 이메일 인터뷰로 그 하루를 들 ... ...
이산화탄소 원천 분리 기술 첫 실증…"세계 최대 규모"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매체순환연소(CLC) 기술을 실증하는 플랜트에서 증기가 생산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이산화탄소를 원천적으로 분리하는 가스 발전 기술을 세계 최대 규모로 실증했다. 전략 생산에 필요한 증기를 최초로 생산해 상용화 가능성까지 확인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 ... ...
햇빛·바람으로 바닷물→식수 전환…효율 5배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지구 표면의 70% 이상은 물로 덮여있지만 대부분 짠 바닷물이라 식수로 마실 수 없다. 해수담수화는 바닷물을 식수로 바꾸는 기술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태양열과 바람을 활용해 바닷물을 식수로 바꾸는 고효율 태양열 증발기를 개발했다. 기존 기술보다 담수 생산량은 76%, 효율 ... ...
0.01나노미터 정밀 조절로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나노물질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다공성 물질의 기공을 0.01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단위로 조절하는 기술이 나왔다. 자연계 전체 수소 중 0.015%만 존재하면서 일반 수소와 성질이 비슷해 분리가 까다로운 중수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다.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핵융합발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