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치
뉴스
"
불치
"(으)로 총 65건 검색되었습니다.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02.16
신체를 맡긴 사람들은 미래의 의학기술이 새로운 인생을 열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불치
병 환자들에게 냉동 보존은 사망 직전 택할 수 있는 마지막 출구다. 세계 3대 냉동인간 회사 중 하나인 러시아의 ‘크리오러스(KrioRus)’가 올해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냉동 이식용 장기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남매의 금지된 사랑. 과연 가능할까?
2018.02.04
재회하게 되고, 둘 사이에서 깊은 사랑의 감정이 싹트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은서는
불치
병으로, 준서는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가을동화’의 한 장면. 극중 준서와 은서는 어린 시절을 같이 보낸 남매다. 이들은 성인이 되어 서로 이룰 수 없는 사랑에 빠져 갈등한다. - 동아일보DB ... ...
[테마가 있는 영화] 내 안의 고통과 마주하다 ‘몬스터 콜’
2017.12.23
이는 “놀랍지만 흔한 일”이다. 코너의 부모는 왜 이혼했을까? 코너의 엄마는 왜
불치
병에 걸렸을까? 왜 이런 일이 코너에게 일어나는 걸까? 이유는 알 수 없고 코너는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다. 신의 시험으로 내내 고통 받는 성경 속 욥의 이야기처럼 코너가 고통을 받는 이유는 신이 아니고서는 ... ...
피부세포→신경세포 변신시켜 파킨슨병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세포를 되살려
불치
병을 치유하는 기술로 흔히 줄기세포가 꼽힌다. 하지만 세포를 줄기세포로 되돌렸다가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이 복잡해 실용화가 더디다. 나노 기술을 이용, 손상된 세포에 줄기세포를 주입하지 않고 주변 세포를 직접 필요한 세포로 바꾸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 ...
美연구진 ‘內耳 조직’ 배양 성공… 청각질환 치료법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5.05
청각신경을 줄기세포로 배양해 치료에 응용한 연구는 최근 수년 사이 꾸준히 있었다.
불치
로 알려졌던 다양한 청각질환의 치료법도 조만간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2년엔 영국 셰필드대 연구진이 뇌로 소리 정보를 전달하는 ‘나선신경절 신경세포(SGN)’를 인간의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 ...
갑자기 선보인 빨간 아이폰7, 그리고 새 아이패드
2017.03.22
우리 사회는 에이즈에 대한 인식이 과거에 머물러 있는 편인데, 현재 에이즈는 여전히
불치
병의 영역에 들긴 하지만 생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관리형 질병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만 이 병이 주로 퍼지는 지역이 극심한 저소득 국가들이기 때문에 치료와 예방에 대한 사회적 장치가 약하고, ... ...
불치
병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국내 연구진이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1
김응국 교수(왼쪽)와 원소윤 박사. - 충북대 제공 ‘운동성 치매’라 불리는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유전적 요인을 한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김응국·원소윤 충북대의대 교수팀은 파킨슨병 환자들은 뇌 속엔 ‘PAK4’라는 유전자의 발현이 적다 ... ...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2016.11.04
암도 치료 가능 유전자 교정치료 대상으로 꼽히는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는 그동안
불치
병으로 여겨져 온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이다. 미국의 생명공학 기업인 ‘상가모 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12월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제7회 치료 중 HIV의 내성에 관한 국제워크숍’에서 ... ...
“정밀도-안정성 월등… 현대 의료 한계 극복”
2016.11.04
이 방법을 이용하면 사람 몸속에서 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교정해낼 수 있어
불치
로 여겨졌던 각종 유전병을 고칠 수 있다. 특히 최신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정밀도와 안전성이 월등히 높아 현대 의료의 한계를 넘어설 것으로 평가받는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기본 원리는 ... ...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
2016.06.15
하는 연구를 왜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는 “오늘날 유전자(DNA)에 대한 연구는
불치
병과 암을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지만, 처음 DNA를 연구할 때만 해도 이런 쓰임새가 있을 줄은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과학은 본능적으로 갖게 되는 순수한 호기심에서 출발하는 것”이라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