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상
이상
파격
변칙
변태
별남
괴팍함
뉴스
"
비정상
"(으)로 총 75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헌팅턴병은 유전적 돌연변이에 의해 헌팅틴 단백질 유전자에서 'CAG 반복서열'이
비정상
적으로 증가해 발생한다. CAG 반복서열이란 시토신, 아데닌, 구아닌 등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는 서열이다. CAG 반복서열이 증가하면 헌팅틴 단백질의 급격한 응집을 유발해 독성 응집체를 형성하고 신경세포 ... ...
손상된 DNA 복제 재개 시점 조절 단백질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BAZ1B와 상호작용하지 못하도록 돌연변이를 일으킨 세포에서는 Ub-PCNA의 탈유비퀴틴화가
비정상
적으로 빠르게 일어났다. 돌연변이 세포는 Ub-PCNA의 양이 줄고 스트레스 상황에 취약해져 세포 사멸률이 높아졌다. BAZ1B가 ATAD5와 상호작용해 탈유비퀴틴화 속도를 정교하게 조절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 ...
의도치 않게 '춤 추는' 희귀질환 헌팅턴병 새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수 있는 드롭-시퀀싱(Drop-seq) 기술을 사용해 헌팅턴 단백질의 역할을 알아낼 수 있었다.
비정상
적으로 긴 CAG 서열이 단백질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유전체의 RNA 발현을 분석했다.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 CAG 서열의 반복은 몇십 년에 걸쳐 천천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참담한 여객기 사고…사라지지 않는 안전불감증
2025.01.15
동영상 덕분이었다. 착륙을 위해 활주로에 접근하던 여객기의 엔진에서 몇 차례의
비정상
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그리고 여객기가 활주로 중간 부분에 비교적 성공적으로 동체착륙을 했지만 속도를 충분히 줄이지 못한 여객기가 활주로 끝에 설치된 로컬라이저 둔덕에 충돌하면서 폭발하고 ... ...
월성2호기 방사성폐기물 29톤 바다에
비정상
배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12일 오전 경북 경주시에 있는 월성2호기 원자력발전소(원전) 액체 방사성폐기물 29톤이
비정상
적으로 배출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조사에 나섰다. 원안위는 12일 오전 10시 23분경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월성 2호기의 액체방사성물질 저장탱크 내 폐기물이 시료 분석 단계를 거치지 않고 해양으로 ... ...
작년 지구 평균기온 상승 1.5도 넘어…파리기후협약 기준 첫 초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기온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엘니뇨는 적도 부근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
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이다. 북위 5도~남위 5도, 서경 170~120도인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 해수면 온도가 3개월 이동평균으로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은 현상이 5개월 이상 지속되면 엘니뇨가 발생한 ... ...
우리 아이 어깨 높이 다르면 척추측만증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약 20%로 발생률이 높아진다. 선천성 척추측만증은 태어날 때부터 척추 구조가
비정상
적으로 형성돼 발생한다. 척추 일부가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거나 분절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생기는데 대부분 영유아기에 발견된다. 신경-근육성 척추측만증은 뇌성마비, 근이영양증, 척수 손상 등 신경이나 ... ...
세포 수준에서 확인한 뇌의 노화…"손상 늦출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담당하는 신경세포다.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는 세포계에서 발생한 이물질, 암세포,
비정상
단백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탄세포라는 뇌세포는 시상하부에서 세포를 구성하는 유전자가 노화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화한 뇌에선 염증 관련 유전자 활동량이 ... ...
회항 많은 제주공항, 급변풍 정보 서비스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발생 가능성과 그 원인을 항공사에 우선 제공하게 된다. 하루 전에는 예상 발생 시간과
비정상
운항 가능성까지 포함한 상세 정보를 공항기상정보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기상청은 항공기상청 누리집을 통해 급변풍 예보에 활용된 분석자료와 수치예측 자료를 공개한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 ...
2형 당뇨 예측 AI 임상 착수…10년 전 위험 식별
동아사이언스
l
2024.12.27
거의 분비되지 않아 발병하는 제1형 당뇨병과 달리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커져
비정상
적인 혈당 수치를 보이는 질환이다. 질병관리청의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유병률은 11.3%다. 한국인 10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일 정도로 흔하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14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