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뉴스
"
서식지
"(으)로 총 45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연구팀은 날개 색깔의 선호도 차이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서식지
가 겹치는 헬리코니우스 속 나비들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를 사용해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 헬리코니우스 티마레타, 헬리코니우스 사이드노 3종의 나비가 구애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
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큰 동물보다 몸집이 작은 동물이 멸종 위기에 놓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서식지
온도 특성, 서식 반경, 몸집 등 여러 변수들이 겹칠수록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멸종이라는 결말을 맞이할 확률이 높았다. 연구팀은 생물종 자체의 특성 외에도 얼마나 극심한 기후변화가 일어났는지도 ... ...
북극곰 어쩌나…10년 내 '빙하 없는 북극'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빙하 면적이 줄어들면 바다표범, 북극곰 등 빙하에 의존해 사는 북극 동물들이
서식지
를 잃게 된다. 바다가 따뜻해지면서 북극 토착 동물이 아닌 어류들이 북극해로 이동할 수 있는데 침입종들은 지역 생태계를 훼손할 수 있다. 해안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빙하는 해안가의 ... ...
총소리만큼 큰 소리 내는 손톱만 한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생존하기 위해 큰 소리를 내는 방향으로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다니오넬라의
서식지
인 미얀마의 탁한 개울에선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소리를 내는 능력을 갖게 됐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빠른 진화 덕에 포식자가 된 '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2.25
다이빙하는 것부터 나무를 빠르게 등반하는 것까지 모두 가능하다. 지구의 거의 모든
서식지
에서 살 수 있는 진화적인 성공을 이룬 것이다. 연구팀은 “뱀을 두려워하고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뱀은 움직이는 방식부터 생태계와 상호작용하는 방식까지 매우 흥미로운 동물”이라며 “뱀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해달 개체수 늘자 습지 침식 속도 느려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3
브렌트 휴즈 미국 소노마주립대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해달이 해안
서식지
주변 염습지의 침식 속도를 최대 90%까지 늦춰준다는 연구 결과를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조수에 의해 바닷물이 드나들며 염분 변화가 큰 염습지는 동물과 인간의 생태에 모두 중요하다. 갈대나 ... ...
'니모를 찾아서' 흰동가리, 줄무늬 몇개인지 셀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종을 같은 수족관에 넣었다. 그 결과 거주지에 머물고 있던 흰동가리는 자신의
서식지
로 찾아온 흰동가리 중 3개의 줄무늬를 가진 흰동가리를 가장 많이 공격하는 행동을 보였다. 줄무늬가 없는 흰동가리를 공격하는 빈도가 가장 낮았다. 연구팀은 줄무늬를 그려넣은 물고기 모형으로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쓰임새에 따라 달라진 식물 분포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식물 연구기관에서 운영하는 12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1100만개에 이르는 식물들의
서식지
정보를 얻었다. 각 식물의 분포 지역을 확인하고 각 지역에서 이 식물이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식물종의 분포는 인간의 쓰임새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인간이 특별한 쓰임새로 ... ...
"북쪽에서 왔어요"…남극 외래종 ‘겨울각다귀’ 기원은 북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외래종 침입이 늘어 생태계 전반이 위협받고 있다. 연구팀은 겨울각다귀가 기존
서식지
와 다른 남극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었던 이유로 유전적 다양성을 지목했다. 특정 지역에 침입한 외래종은 일반적으로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이지만 겨울각다귀는 기원지가 여러 곳이어서 높은 유전적 ... ...
[표지로 읽는 과학] 벌레 잡는 식물의 구조적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갖게 됐는지 분석한 연구를 4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네펜데스 그라실리스
서식지
에서 4000km 떨어진 곳에서 비슷한 곤충 포획 메커니즘을 가진 '네펜데스 페르빌리'라는 벌레잡이식물을 발견했다. 두 종을 비교해본 결과 서로 다른 구조적, 화학적, 기계적 형질을 갖고 있었다. 곤충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