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간가스
가스
개스
까스
깨스
뉴스
"
성간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저 1·2호도 못 간 1000AU까지…인류 역사상 최장 우주 탐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다양한 관측 자료를 보내올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태양이 분출하는 플라스마와
성간
가스의 상호 작용이 태양권 형성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태양권 계면이 마치 비눗방울처럼 주기적으로 늘어났다 줄어드는 이유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NASA는 2030년대 ... ...
[인간 행동의 진화]새로운 관계를 추구하지 않는 사랑
2021.04.04
윤리의 문제가 아니다. 생존의 문제다. 인류는 다른 유인원과 달리 자원의 세대 간,
성간
공여가 아주 활발한 종이다. 자원을 남녀가 공유하고, 부모 자식도 자원을 공유한다. 세대 간 분업, 성적 분업을 통해서 더 효율적인 생존과 번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오래 전부터 경험으로 알고 있었다. 사실 ... ...
정체성 논란 오우무아무아 "질소 얼음으로 된 행성 파편"
연합뉴스
l
2021.03.18
Belton 제공/ AP =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2017년 말 태양계에서 처음으로 관측된
성간
(星間·interstella) 천체 '오우무아무아'(Oumuamua)는 명왕성 표면처럼 질소 얼음으로 된 외계 행성의 잔해일 가능성이 높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천체 형태도 당초 알려졌던 길쭉한 시가 모양이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횡파’로 바뀌었다”며 “이 차이가 태양권과
성간
공간을 구분하는 특징이라 추측하고 있지만 보이저 탐사선이 태양권계면에서 수십 광년밖에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 보이저 2호의 관측 결과로 ... ...
인류가 달에서 가져온 토양 382kg…한국은 '그림의 떡'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다양한 우주 시료를 지구로 가져왔다. 1999년 ‘스타더스트’를 보내 혜성의 구성물질과
성간
물질을 채집했고, 2001년 ‘제네시스’는 태양이 내뿜는 물질(태양풍)을 담는 데 성공했다. 또 JAXA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1호’가 소행성 이토카와를 탐사한 뒤 2010년 지구로 가지고 온 10~100μm ... ...
연료전지로 나는 항모 드론·천체관측기술 들어간 급조폭발물 탐지기 우리 손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연구진이 전시한 '모자 분리형 캐리어 드론' 시스템. KIST 제공. 천체를 관측하거나 우주
성간
먼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편광을 군의 정찰 작전에 활용하는 기술도 소개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진동하는 빛에서 전기장 진동 방향이 일정한 편광 현상으로 ... ...
138억년 전 별도 행성도 없던 우주에서 들려온 기괴한 소리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신호를 측정한 소리도 담겼다.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은하쌍의 모습이다. 붉은
성간
구름과 눈처럼 밝은 부분이 마치 핼러윈 호박을 연상케 한다. NASA 제공 NASA는 매년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우주에서 관측된 유령을 연상케 하는 영상이나 소리를 공개하고 있다. 올해는 NASA 허블우주망원경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있을까는 천문물리학자들의 오랜 연구대상이었다. 우리은하의 중심에는 두꺼운
성간
먼지가 있기 때문에 투과성이 좋은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한다. 1990년대부터 적외선 관측기기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 은하의 중심을 자세히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번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겐첼 교수와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걸친 평평한 원반 모양이다. 가스와 먼지, 수천억 개의 별들로 구성됐다. 지구에서는
성간
가스와 먼지구름이 은하 중심에서 오는 가시광선을 가려 별을 볼 수 없다. 겐첼 소장과 게즈 교수는 먼지구름과 가스 너머를 볼 수 있는 적외선 망원경과 전파망원경을 통해 우리 은하 중심을 연구해 왔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포기할 수 없는 화학물질, 차라리 친해지자
2020.09.30
만들어져 있다.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도 화학물질이고, 광활한 우주 공간에 떠 있는
성간
먼지도 화학물질이다. 사람의 몸도 예외가 아니다. 화학물질이 없는 세상에서는 우리 자신도 존재할 수가 없다. 지금까지 이름이 붙여진 화학물질의 수는 1억 5천만 종이 넘는다. 화학자들도 그 이름을 모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