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위취
개폐기
전환기
스윗
스윗치
switch
스위치무역
뉴스
"
스위치
"(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소재 성질 한번에 측정…‘융합 나노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2.05
시료 표면을 긁어 전자가 가해지는 양을 조절하면 소자의 광‧전기적 성질을 동시에
스위치
처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융복합 성질을 응용한 회로 디자인, 소자 설계에 쓰일 수 있다. 이은성 KRISS 나노분광이미징팀장은 “이번 성과는 KRISS가 2015년부터 축적해 온 나노측정 연구 노하우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돌연변이로 촉발되는 경우가 많다. 세포 성장과 분열을 촉진하는 KRAS는 상황에 따라
스위치
가 켜지고 꺼져야 하는데 변이가 일어나면 늘 켜져 암세포가 된다. 그런데 KRAS의 영향을 받는 유전자의 하나가 Y염색체에 있는 KDM5D다. 대장암은 남성에서 발병률과 사망률이 높다. 과거에는 남녀의 생활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tACS에 의해 새롭게 발생된 신경회로망 활성은 장기 시냅스 가소성을 조절하는 기전들의
스위치
를 켜게 되어 뇌기능 변화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특히나 노화성 인지기능 감퇴 정도가 훨씬 낮았던 노인들에게서 HD-tACS에 의해 더 높은 기억 회복 및 증강 효과를 ... ...
"재난·사고 현장 도와요"…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 수상작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학생의 '방향 지시가 가능하고 발밑이 보이는 구조용 들것'이 선정됐다. 들것의 손잡이에
스위치
를 달아 진동, LED 불빛, 경보음 발생 같은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실용성을 높였다고 평가됐다. 각종 재난상황에서 부상자를 들것에 싣고 이동해야하는 구조대원의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발명됐다. ... ...
햄버거 맘껏 먹어도 살 안쪄…식욕 억제 없는 비만치료제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1
신경세포 군집 '가브라5(GABRA5)'가 지방 조직과 깊은 관련이 있는 일종의 '체중 조절
스위치
'임을 알아냈다. 실험쥐에게 화학유전적 방법으로 가브라5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했더니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이 감소하면서 지방이 축적돼 체중이 증가했다. 반대로 가브라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체중이 ... ...
간과하기 쉬운 비만 원인 2가지, 지나친 소금 섭취...또 하나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8.29
있다고 말했다. 음식이 부족한 환경에 살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생존
스위치
를 활성화해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도록 만든다는 설명이다. 과체중이나 비만인 사람은 이미 과당 섭취가 과한 경향이 있다. 과일과 같은 자연식품으로 소량의 과당을 얻는 것이 아니라, 설탕과 고과당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모든 기억이 유전될 수 있다’라고 정의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후성유전학적
스위치
를 생식세포에서 켤 수 있는 스트레스나 공포와 같은 특정 환경 자극과 관련된 형질 획득 또는 일부 학습 정보들이 유전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라마르크가 주장했던 ‘획득 형질의 유전’은 아주 ... ...
"전기 자극,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 효과"
연합뉴스
l
2023.08.14
전극이 내장된 접착성 피부 패드를 경부 밑 부분과 등 위쪽에 부착한다. 그리고 장치의
스위치
를 켜면 가벼운 전기 펄스를 설하 신경과 근육에 보내 기도가 열려 있게 만든다. 설하 신경은 뇌 기저부에서 경부 아래로 내려와 혀 밑에서 끝나는 신경이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수면장애 ... ...
'안 쓸 땐 전력소비 0' 초저전력 웨어러블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보였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 '양의 반응형' 인장 센서와 반대인 '음의 반응형'
스위치
형태의 섬유형 인장 센서(NRS)라는 이름을 붙였다. NRS 인장 센서를 E-피트니스 팬츠, 스마트 마스크, 자세 교정용 티셔츠 등 3가지 웨어러블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 실제로 적용해보니 각 ... ...
인간 파일럿 대체할까…KAIST,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파이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9
파이봇은 장착된 카메라로 조종석 내부 및 항공기 외부 상황을 파악하고 조종간의 각종
스위치
들을 정확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밀 강인 제어 기술을 적용해 진동이 심한 항공기 내부에서 정확한 로봇 팔 및 손 제어가 가능하다. 파이봇은 현재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에서 항공기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