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소택지
택지
습원
늪지대
수렁
웅덩이
뉴스
"
습지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활동에 대한 강의 ‘반격’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강에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한다. 이렇게 형성된 해안 삼각주는 세계의 많은
습지
에 영양을 공급하고 비옥한 땅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예상치 못한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학자들은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강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 ...
동굴생활 40일 시간 감각 잃었다...극한 환경 인간의 적응 메커니즘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눈앞의 현실...다양한 프로젝트로 적응 메커니즘 찾는다 HAI는 극한 환경이 극지나 열대
습지
등 접근하기 어려운 곳뿐만 아니라 인간 삶의 곳곳에 현실이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기후변화와 이상기후로 인한 고립, 전쟁과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한 강제 이주 등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월 ... ...
[애니멀리포트]멸종 위기 딛고 펼친 하얀 날갯짓
과학동아
l
2021.03.13
논 생물조사 체험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체험학습을 진행하며 황새가 살아갈 터전인
습지
생태계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김경선 제공 황새생태연구원에서 60마리의 황새를 예산황새공원에 데려온 2014년 6월에는 마을에 잔치가 열렸다. 김수경 예산황새공원 선임연구원은 “이날 주민분들이 ... ...
지구 자극 역전이 초래한 기후변화가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연합뉴스
l
2021.02.22
이 대학 지구과학자 크리 터니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뉴질랜드 북부 은가와
습지
에서 반(半) 화석 상태로 발굴된 고대 카우리 나무의 나이테를 분석해 라샹 사건의 시기와 영향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를 통해 발표했다. [NA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카우리 아 ... ...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2.13
팔리고 있다고. 2019년 10월에는 광주 북구 광주호 인근에서 미국 남서부 지역의
습지
에 사는 ‘악어거북’이 발견됐다. 진흙 속에서 작은 동물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육식성 거북인데, 민물 거북 중에서는 가장 크게 자라 생태계에 위협이 될 가능성이 크다. 더 중요한 점은 악어거북이 세계적 ... ...
[이덕환의 과학세상]미래 세대에게 떠넘겨버린 탄소중립의 부담
2021.01.06
감축에 크게 기여한다는 이야기는 몹시 낯선 것이다. 자칫하면 환경부가 전국의
습지
를 광합성을 하는 ‘녹조’로 라떼를 만들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오해할 수도 있다. 사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저장・활용하는 ‘탄소포집저장활용’(CCUS)이나 ‘인공광합성’이 빠진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 20cm 깊이의 퇴적층 속 탄소저장량이 1.7~3.7배 많았다. 연구팀은 “
습지
에 탄소가 갇히는 속도가 두 배로 늘면 매년 500만t의 탄소가 추가로 땅속에 저장되는 효과를 불러온다”며 “대기 중 탄소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탄소 500만t은 자동차 10 ... ...
토종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북한에도 산다…충남·전북에선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인
습지
가 상대적으로 잘 보전돼 있다”며 “문덕 외 다른
습지
에도 수원청개구리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수원청개구리의 분포지역(녹색 및 연두색 지역)과 민무늬청개구리(파란색), 새로 발견된 노랑배청개구리(주황색)의 서식지를 표시했다. 서해를 ... ...
뿌리 유전자, 식충식물에선 잎에서 발현돼
과학동아
l
2020.06.02
서식지 경쟁에서 도태돼
습지
대나 암벽과 같이 척박한 환경으로 밀려난 식충식물은 나름의 독특한 생존전략을 세웠다.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질소 성분을 뿌리로 흡수할 뿐만 아니라 곤충을 사냥해 섭취하는 전략이다. 국제 공동연구팀이 식충식물의 유전체를 분석해 이 같은 진화의 비밀을 일부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이주에 대한 연구 결과다. 20만~13만 년 전까지, 현생인류는 칼라하리 지역의 대규모
습지
에 살았다. 이 시기에는 발상지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확산했다는 증거가 없다. 약 13만 년 전 지구 궤도와 태양 복사로 발상지의 북동쪽으로 강수와 식생이 증가해 먼저 북동쪽으로 이주가 가능했다(2), 약 2만 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