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농도는 지구 대기에서의 농도보다 수천배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진
추정대로라면 지구보다 훨씬 더 많은 생물학적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2가지 물질의 검출은 통계적 유의미성에서 3시그마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발견이 우연일 확률이 1000분의 3이라는 ... ...
한국인 美 대학 조교수, 비자 취소로 돌연 귀국길…유학생 불안감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는 3월 중순 이후 미국에서 비자 취소 또는 연방정부 기록 삭제 조치를 받은 유학생 및
연구진
은 10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미국 이민 변호사협회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최소 4700건 이상의 유학생 기록이 말소 조치된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트럼프 정부는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한 ... ...
3D 유사장기로 두경부암 원인 돌연변이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 3차원(3D) 두경부 전암 오가노이드(인공장기) 모델을 개발하고 초기 암 발현 과정을 확인했다. 난치성 암인 두경부암 생존율을 높이고 새로운 면역기반 치료제 개발 단초를 제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세대는 박영민 ... ...
스펀지 같은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열전 소재…성능 5.7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강영훈 책임연구원, 한미정 책임연구원, 박병욱 선임연구원. 화학연 제공 국내
연구진
이 기존 탄소나노튜브(CNT)의 열전 성능 지수를 기존 대비 5.7배 향상하는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의 소재를 스펀지처럼 만들어 자유로운 형태 변형도 가능하다. 움직임이 많은 웨어러블 기기 센서의 ... ...
'사이버불링' 겪는 뇌, 전쟁터에 있는 것처럼 반응
과학동아
l
2025.04.12
0% 이상의 정확도로 사이버불링 가해자를 식별하는 AI 기반 머신러닝 모델도 개발됐다. 이
연구진
은 트위터(현X)에서 120만 명의 사용자와 210만 개의 트윗을 분석한 가해 패턴을 기반으로 자동 탐지 시스템을 구축했다. (doi: 10.1145/3343484) ● 디지털 윤리가 알고리즘에 필수인 이유 사이버불링은 더 이상 ... ...
첨가제 하나로 리튬 금속 전지 짧은 수명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전해질 설계를 적용한 배터리를 나타낸 이미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50도(℃) 고온의 극한 환경에서도 오랜 수명을 유지하는 다기능성 전해질을 개발했다. 가볍고 에너지 밀도 높은 배터리 개발로 이어질지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진우 KAIST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리튬 금속 ... ...
혈관과 소통하는 암, 실시간으로 본다…상호작용 모사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실제 인체 환경처럼 정밀하게 모사하고 분석하는 칩 기술을 개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 왼쪽부터 김준영 연구원, 조윤경 교수, 노주영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암세포와 혈관 간 상호작용을 실제 인체 환경처럼 정밀하게 모사하고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칩 기술이 개발됐다. 환자 ... ...
그래핀으로 빛 세기 따라 투명도 변하는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ETRI)
연구진
이 그래핀을 활용해 개발한 광경화 투명 필름(왼쪽)과 그래핀 광경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들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강도와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소재인 그래핀으로 빛의 세기에 따라 투명도가 변하는 필름을 개발했다. 서로 엉겨 붙기 쉬운 그래핀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 ...
조산 예측 새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예측 바이오마커를 발견한 김영주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교수. 이대목동병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자궁경부에 존재하는 질액을 분석해 조산을 예측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아냈다. 이대목동병원은 김영주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이 만삭과 조산 임산부의 자궁경부 질액 내부에서 단백질 ... ...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나노입자 결합시켜 열로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금나노입자와 지질나노입자 기반의 신규 항생제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바이오나노 기술을 이용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슈퍼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슈퍼박테리아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