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정
열기
흥분
정열
열심성
열의
열심
뉴스
"
열성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만나면 a는 발현되지 않고 A가 발현된다. 그러니까 A(둥글다)가 우성인자, a(주름지다)가
열성
인자인 셈이다. 이렇게 Aa의 인자를 가진 잡종1대가 또 다른 Aa를 만나 잡종2대를 만들면 이제는 경우의 수가 더 많아진다. 아빠에게서 A나 a 두 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고 엄마에게서도 A나 a의 두 가지를 받을 ... ...
[고쳐 쓰자, 과학용어](1)'게놈'은 '유전체'로, '아밀라아제'는 '아밀레이스'로
2020.10.12
단어로 쓰이면서 잘못 이해되기도 한다. 한 응답자는 “일본 유전학계는 우성과
열성
대신 각각 현성(顯性·잡종 제1대에서 반드시 겉으로 나타나는 형질)과 잠성(潛性·잡종 제1대에는 나타나지 않는 형질)으로 쓰기로 했다”고 말했다. 외부 자극에 신체 기관이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학술 ... ...
트럼프 덱사메타손·렘데시비르 투여…"예상보다 심각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이는 이른바 ‘VIP증후군’으로 불리는 현상으로 의료진이 유력 인사에 대한 치료에 너무
열성
적이거나 유력인사의 지시에 너무 쉽게 따르는 것을 말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뒤 증상이 빠르게 진행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양성 판정 당시 트럼프 ... ...
'살인 진드기병' STFS 진료하던 의료진 5명 집단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제공 야생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병으로 이른바 '살인 진드기병'이라 불리는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SFTS)에 걸린 환자를 진료하던 의료진 5명이 집단으로 SFTS에 감염됐다. 사람 간 전파는 3년 만이다. 질병관리본부와 대구광역시는 경북대병원 응급 중환자실에서 근무한 의료진에서 SFTS ... ...
700년 전 유럽을 공포로 몰고간 흑사병, 지금은 항생제로 치료 가능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의심 증세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흑사병은 페스트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급성
열성
인수공통감염병이다. 페스트균을 갖고 있는 쥐벼룩이 옮긴다. 쥐벼룩을 가진 들쥐나 마멋 등 야생 설치류가 사람에게 옮기거나 쥐를 잡아먹은 고양이가 옮기기도 한다. 주로 설치류가 감염되지만 개나 고양이 ... ...
[애니멀리포트]호랑이를 길들이지 못하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20.06.27
있다. 예를 들어 벵갈 호랑이의 황색 털은 우성, 흰색 털은
열성
인자다. 부모 모두에게
열성
인자를 물려 받을 경우에만 백호가 태어난다. 호주 연구팀은 이렇게 태어난 백호 중 상당수가 선천적으로 내사시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doi: 10.1111/j.1751-0813.1999.tb11220.x 내사시는 두 눈의 시선이 코쪽으로 ... ...
열성
변이 가진 '베토벤 생쥐', 크리스퍼 가위로 교정 성공
연합뉴스
l
2020.06.05
섬세한 유모세포는 음파의 압력을 전기 자극으로 바꿔 뇌에 전달한다. TMC 1 유전자에
열성
변이가 생긴 생쥐는 생후 4주쯤 됐을 때 유모세포가 빠르게 퇴화해 극심한 난청이 온다. 이번 연구에 저자로 참여한 하버드 의대의 제프리 홀트 이비인후과 교수는 유전자 요법을 사용해 생쥐의 TMC 1 관련 ... ...
"어린이 다기관염증증후군 의심자 2명 회복…1명은 퇴원"(종합)
연합뉴스
l
2020.05.27
3일 기준으로 13개국으로 확산했다. 이 질환은 보통 4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발진증인 '가와사키병'과 비슷한 증세를 보이다가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20대 성인 환자가 나오기도 했다. 세계 각국에서 발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계절성을 의학은 아직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뇌염(바이러스)이나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처럼 계절을 타는 이유가 명확한 전염병도 있다(운반체인 모기나 진드기가 여름과 가을에 활동하므로). 다행히 코로나19와 호흡기 질환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독감과 감기의 ... ...
GIST, 코로나19 면역 검사기술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교수와 강주영 연구원팀이 맡을 계획이다. 박 교수는 “’살인진드기’라고 불리는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의 고감도 분석법을 개발했던 노하우를 살려 코로나19 항원의 혈청학적 진단 기술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과제는 질병관리본부가 코로나19에 긴급히 대응하기 위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