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교
뉴스
"
전학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 꼬리표' 붙은 RNA가 알츠하이머병 치료 열쇠 될까
연합뉴스
l
2021.08.30
진행 과정에서 이런 꼬리표 RNA가 점점 뉴런에 쌓이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 광유
전학
과 단백질 분석 기술을 결합해 실험했다. 감광 단백질 유전자를 특정 유형의 뉴런에 적용해, 빛으로 유전자 발현 도를 조절하면서 뉴런의 변화를 관찰했다. 알고 보니 잘못 접힌 타우 단백질은 태그가 달린 RNA만 ... ...
자폐 생쥐 빛 자극 줬더니 회복…자폐 환자 사회성 저하 원인 규명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Shank2가 결손되면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Shank2 결손 생쥐의 사회성 저하 및 광유
전학
자극을 통한 회복 모식도. IBS제공. 자폐 생쥐의 뇌에서는 억제성 뉴런 중 사회성과 인지능력이 관련된 ‘Pv 뉴런’의 NMDA 수용체 기능이 약화됐다. 이는 한번에 여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다발성 ... ...
국내 연구진, 기억 형성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참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학습 바로 직후에 이 시냅스를 다시 광유
전학
기술로 인위적으로 자극해 시냅스 연결을 약하게 하면 시냅스와 뉴런에 기억이 인코딩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대로 정상적으로 생쥐가 공포 경험을 하고 난 바로 직후 LTP 자극을 통해 이 시냅스 ... ...
[주말N수학]라켓소년단 1승의 전략
수학동아
l
2021.07.03
서울의 한 중학교 야구부 에이스로 활동하던 윤해강(탕준상)은 어느날 전남 해남으로
전학
을 가게 됩니다. 한때 국가대표 배드민턴 선수이던 아버지 윤현종(김상경)이 해남 중학교의 배드민턴 코치를 맡았기 때문입니다. 그곳에서 언젠간 다시 서울로 돌아가 야구 선수를 하겠다는 생각만 했는데 ... ...
뇌질환 분석하는 유연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자유롭게 움직이는 쥐를 대상으로 한 광유
전학
실험, 행동 실험이 가능했다. 이물 반응에 따른 아교세포 및 면역세포 발현이 기존 장치보다 현저히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다. 박성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하이드로젤을 다기능 신경 인터페이스의 ... ...
실명 환자들, 광유
전학
으로 시력 일부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광유
전학
은 동물에서는 행동을 조절하거나 자극을 조절하는 것이 검증됐다”며 “광유
전학
분야에선 인간에게도 이를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실험 동영상: https://youtu.be/qw9Kwi1juWA https://youtu.be/QGt6Y8lt9oE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장이 반찬인 이유
2021.04.20
유방암이 30%, 우울증이 40%인 것에 비하면 놀랄만한 수치다. 2019년 학술지 ‘네이처 유
전학
’에는 식욕부진증 관련 유전 자리 8곳을 밝힌 연구논문이 실렸다. 이 가운데는 강박증과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과 관련된 곳도 있었고 BMI와 지질 등 대사에 관여하는 곳도 있었다. 배고픔 신호전달물질인 ApRP ... ...
인공 미니 뇌 활동, 정밀하게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수 있다. 광유
전학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도 달려있다. 광유
전학
은 빛으로 이온 채널을 세포나 생물에 발현시켜 세포와 조직의 활성을 관찰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미니 뇌와 바이오 전자소자를 합쳐 ‘배양접시 위 미니 실험실’이라 이름 붙였다. 박윤석 ... ...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그러자 수염이 앞뒤로 정확하게 움직이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태 교수는 “광유
전학
은 정밀하게 뇌 기능을 조절하는 뇌과학 연구뿐 아니라 신경정신과 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 활용 등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 국제 학술지 ‘바이오센서 ... ...
스마트폰처럼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인터넷판 1월 22일자에 실렸다. 광유
전학
은 세포에 빛을 쪼여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술로 뇌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기존에는 제어장치와 세포를 광섬유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세포에 빛을 전달했다. 그런데 이런 방식은 동물의 움직임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