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레이저 연구시설을 짓고 있다. 미국은 레이저를 핵융합에 쓰는 방향이라 오히려 이
쪽
분야에서는 약한 편이다. 더 앞서기 위해 장비를 새로 지어야 하냐고 하면 좀 어렵다고 생각한다. 중국은 우리보다 예산이 100배 더 많다. 현실적으로 한국에서 그게 될 것 같지는 않다. 숫자 경쟁을 할 수도 없고 할 ... ...
한반도 남부 관통 '양산단층' 일부, 지진과 기후 변화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급격히 변화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 연구팀은 퇴적물이 서
쪽
산지가 아닌 동
쪽
산지에서부터 흘러 들어오는 것으로 방향이 바뀌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통해 양산단층에서 일어난 지진활동과 함께 약 7만 년 전에 시작된 'MIS 4 빙하기'로 인한 강수량 감소 등 기후변화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말할 수는 없다. 흥미롭게도 우유 살균 논란은 감염병과 만성질환 가운데 어느
쪽
이 더 심각한 문제인가에 대한 판단과 맥을 같이 한다. 후자라고 생각하는 케네디가 미살균을 옹호하는 건 일관성 있는 태도인 셈이다. 우유 살균 여부가 만성질환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 싶지만 연구 결과를 보면 ... ...
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하나인 '거울 쌍정 경계(MTB, Mirror Twin Boundary)는 금속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한
쪽
원자 배열이 맞은편 원자 배열과 거울상을 이루는 형태다. 연구팀은 이황화몰리브덴의 거울 쌍정 경계에서 1차원 전자계 구현의 실마리를 얻었다. 먼저 사파이어 기판 위에서 성장시킨 이황화몰리브덴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랑이 개체 수 회복에 성공한 인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호랑이 보호구역 내에서 촬영된 호랑이의 모습을 담았다. 고대에 지어진 요새
쪽
으로 걸음을 옮기는 호랑이의 모습은 인간과 호랑이의 오랜 공존의 역사를 보여주는 듯하다. 호랑이를 비롯한 대형 육식동물은 생태계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존재다. 먹이사슬을 조절하며 생태계 균형을 ... ...
[사이언스영상] 꿀렁꿀렁 기어가는 산호
SEIZE
l
2025.02.01
서식지로 이동하는 것이다. 버섯산호의 움직임은 해파리의 이동방식과 유사했다. 바깥
쪽
조직 일부를 부풀려 바닥과의 접지력을 높인 뒤 몸을 비틀고 수축시키며 몸을 움직였다. 이동속도는 느리다. 청색광을 비출 때를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평균 43.7mm 움직인다. 루이스 연구원은 "버섯산호의 몸 ... ...
딥시크, 챗GPT보다 소아과 진단 능력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높은 정확도를 보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딥러닝과 CoT 기법 중 어느
쪽
이 차세대 LLM의 선두 주자 자리를 차지할지 관심이다. 챗GPT-o1과 딥시크-R1은 서로 다른 기법을 사용하지만 기존 모델보다 획기적으로 개발 비용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딥시크-R1은 ... ...
'아빠만 둘'인 생쥐, 처음으로 성체까지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발생하기 때문이다. 각인 유전자는 아버지 또는 어머니에게 물려받았는지에 따라 한
쪽
만 발현된다. 만약 같은 각인 유전자가 한 세포에서 동시에 발현되면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연구팀은 2018년 두 암컷 쥐의 유전자를 결합하고 각인 유전자를 편집해 생식능력이 있는 새끼 쥐를 ... ...
[동물do감] 정전기로 벌새에 '무임승차'하는 진드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유사한 구조가 확인됐다. 양
쪽
앞다리를 제거한 진드기는 전기장에 끌리지 않았다. 한
쪽
다리만 남아 있어도 전기장에 반응했다. 연구팀이 관찰한 19종의 진드기들은 선호하는 꽃이 각각 다르고 앞다리 구조도 달랐다. 연구팀은 "전기 신호에 특이성이 있거나 꽃마다 차이점이 있을 것"이라며 ... ...
2월 1일 한파 주춤…3일부터 다시 '강추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영하 10℃, 영하 9℃일 것으로 예상돼 강추위가 한반도를 덮친다. 2월 1일에 한반도 남
쪽
에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비와 눈이 내린다. 저기압 위치에 따라 강수가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 2월 3~5일 사이 남하한 한기로 인해 전라, 제주 지역에 눈과 비가 내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