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가
인척
겨레
가족
가정
집안
친족
뉴스
"
친척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만 가진 유전자 155개 추가 발견...인간 고유 질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21일 공개했다.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자는 98.4% 일치한다.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친척
관계다. 과학자들은 인간과 침팬지가 약 450만~700만년 전쯤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추정한다.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와 각자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온 것이다. 환경의 차이는 다른 진화 결과를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유전자와 지리적 거리의 관계를 분석하면 집단별로 어느 정도 거리에서 나무들의
친척
관계가 형성되는지를 알 수 있다. 수종이나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인 유전자원 보존 가이드라인은 최소 20m 이상의 거리를 두고 종자를 수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렇게 종자를 이용하면 더 많은 ... ...
100년간 논쟁 이어진 화석 주인은 익룡 초기 조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버지니아공대 교수는 "익룡은 동력비행을 한 최초의 척추동물로 알려져 있지만 익룡의
친척
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며 "익룡의 진화적 연결고리와 함께 이들의 생활사를 알 수 있는 단서를 얻었다"고 말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지역에서 얻은 열 명이 넘는 고인류 유전체가 발표됐고 이를 통해 우리의 가장 가까운
친척
인 네안데르탈인의 진화사에 대한 귀중한 정보가 축적되고 있다. 데니소바인 상상도. 페보 소장의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은 2008년 러시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멸종 인류 ‘데니소바인’의 DNA를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호모사피엔스는 약 3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현생 인류의 가장 가까운
친척
뻘인 네안데르탈인은 40만 년 전부터 유럽과 서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다 7만년 전 멸종했다. 호모사피엔스는 아프리카에서 중동으로 이주했고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호모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은 수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턱 있는 척추동물 기원, 4억3900만년 전 고대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2.10.01
전신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4억3900만년 전 화석으로 추정되는 상어
친척
뻘인 고대 물고기와 이빨에 대한 분석 결과도 논문으로 제시됐다. 연구팀은 “턱이 있는 척추동물이 초기 실루리아기인 4억39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며 “턱이 있는 ... ...
"추석 벌초 중 벌에 쏘이면 긁어서 제거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09
온 가족이 모이는 추석에는 벌초, 차례와 같은 가족 행사가 열린다. 오랜만에 만난 일가
친척
과 화목한 시간을 보내는 가운데 다양한 사고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예년보다 이른 올해 추석은 아직 늦여름 더위가 가시지 않았다. 기온이 높은 만큼 말벌류 개체군이 아직 왕성하게 ... ...
개미 덕후가 되면 개미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
과학동아
l
2022.08.20
해도 그렇다. 숲곰개미 님은 “숲곰개미는 길가에서 흔히 보이는 곰개미와
친척
이지만, 숲에서 살아서 막상 찾으려면 잘 보이지 않는 개미”라며 “개미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세히 보면 은은한 광택이 아름답게 드러난다”고 했다. 귀여운 어감 덕에 10년째 별명으로 쓰고 있다. 요즘 들어 아쉬운 ... ...
10년 걸린 연구 3개월에 끝낸다…구글 AI '알파폴드'가 주도하는 생명과학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보통 진화생물학은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해 특정 종의
친척
과 진화 방향을 확인한다. 유전체 차이가 크면 연구대상에서 제외된다. 하지만 유전체보다 느리게 변화하는 단백질 구조를 비교하면 확인하기 어려운 진화적 관계를 복원할 수 있다. 페드로 벨트라오 ... ...
인간보다도 더 따뜻한 '로봇의 백허그'…포옹기술 11계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10
일부 참가자들은 로봇에게 받은 포옹을 ‘어머니의 위안 같은 포옹’ ‘장례식장에서 먼
친척
을 만난 느낌’ ‘싫은 사람을 안아줄 때 느낌’ 등 의인화해 설명하기도 했다. 꽉 껴안는 포옹을 연인의 포옹으로 묘사하는 사람도 많았다. 블록 연구원은 “우리는 사람의 포옹을 대체하는 것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