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언장담
장담
함성
고함
대성
호언
자랑
뉴스
"
큰소리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착용해도 재채기 소리 들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노이즈 캔슬링은 주변의 소음을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대중교통이나 시끄러운 번화가에서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을 착용하면 주변의 소음이 뚝 줄어들어 조용한 환경을 만들 수 있지요. 노이즈 캔슬링은 어떻게 주변의 소음을 차단하는 걸까요. 소리는 진동으로 인해 전달되는 ... ...
불어가 좋았던 문과생이 음성인식 기술 전문가 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4.07.13
9일 서울 강남구 모처에서 만난 조형실 SiLnD 대표. 이채린 기자 "에어컨 온도를 23도로 맞춰 줘." "네, 알겠습니다. 또 어떤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근처에 가장 가까운 주유소가 어디야?" 최근 음성인식 기술이 발전하며 자동차에서 음성 비서와 이같은 대화를 주고 받는 모습이 익숙해졌다. 네덜란 ... ...
코끼리도 사람처럼 서로 '이름' 부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어린 코끼리 두 마리가 케냐 삼부루 국립보호구역(SNR)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George Wittemyer 제공 돌고래나 앵무새처럼 상대가 내는 소리를 모방해 서로를 부르는 동물이 있지만 다른 개체를 추상적 개념인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사람만 할 수 있는 행동으로 알려졌다. 미국 연구팀이 야생 코끼리 ... ...
[극한호우, 우리]⑤ 한국, 1+1=3이 되는 길 찾아야…반지하 거주민 대책도 필요(끝)
2024.05.31
2020년 8월 서울 서초구 양재천 산책로가 폭우로 불어난 물에 잠겨 있다.연합뉴스 제공 [편집자 주] 최근 몇년간 지구촌은 그간 본 적 없는 큰 비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올해만 해도 3월 케냐에선 홍수로 200명이 넘게 목숨을 잃었고 4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엔 12시간 동안 1년 치 비가 쏟아졌습니다 ... ...
플랜트 대형 사고, 먼 데서도 ‘소리’로 실시간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우정한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음향 인텐시티 기반 음원 추정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기계연 제공 플랜트 대형 사고 방지를 위해 원거리에서 배관 누설음을 탐지해 실시간으로 누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국내 독자 기술이 개발됐다. 대형 플랜트의 사고대응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작 ... ...
[과학사극장] 파블로프는 개 실험에 종소리를 쓰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5.25
과학동아 제공 과학사에서 가장 유명한 개는 '파블로프의 개'일 것이다. 1849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실험 신경학자이자 생리학자인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는 개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통해 '조건반사'로 알려진 고전적 조건형성을 발견했다. 파블로프의 개로 대표되는 그의 연구와 삶을 우리는 얼 ... ...
까마귀, 소리 내어 숫자 '30'까지 셀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까마귀는 인간처럼 소리를 내며 숫자를 셀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먹이를 물고 있는 까마귀. 게티이미지뱅크 “하나, 둘, 셋.” 까마귀가 사람처럼 숫자를 세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대 30까지 셀 수 있으며 소리를 내어 읽는 것도 가능하다. 동물들이 ... ...
시간당 100mm 우습게 넘기는 극한호우 시대…최선의 대비책 있나
2024.05.1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의 강수 패턴은 최근 들어 바뀌고 있다. 2022년 8월 서울에 시간당 141.5mm의 관측사상 가장 많은 비가 내렸다. 2023년 7월 충북 청주에는 400년에 한 번 올 법한 큰 비가 내렸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2023년 12월 7일 '치수 패러다임 전환 대책'을 내놨다. 홍수 대비체계를 근본적 ... ...
"향유고래, 인간 언어처럼 수많은 의미 표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향유고래는 지구상에 존재했던 동물 중 가장 큰 두뇌를 가진 동물이다. Amanda Cotton 제공 항유고래는 소리를 내 인간처럼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사회적 동물이다. 향유고래가 내는 소리가 이전에 밝혀진 것보다 훨씬 더 구조화되어 있어 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제이콥 안 ... ...
독특한 성대로 큰 소리 내 몸집 커 보이게 하는 여우원숭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여우원숭이. 위키미디어 제공 여우원숭이가 독특한 성대 구조로 만들어낸 소리로 실제보다 몸집을 커 보이게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대는 동물의 후두에 있는 한쌍의 주름으로 소리를 낼 수 있게 하는 발성 기관이다. 1일 영국 BBC는 일본 교토대 인간행동 진화기원센터와 영국 앵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