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산마그네슘
마그네슘
마그내슈움
마그네슈움
마그네이슘
뉴스
"
탄산
"(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리안을 닮은 고대 연체동물…"내부는 텅 비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8.02
시샤니아 아쿨레아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상도. M. Cawthorne 제공 비어있는 내부에선
탄산
칼슘 성분으로 이뤄진 침상체(針狀體)가 분비됐을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 연체동물에게서도 발견되는 침상체는 섭취한 먹이에서 불필요한 입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외피의 가시 돌기는 지렁이나 ... ...
냉면 먹을 때 '찌릿' 시린 치아, 스케일링해도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된다. 상아질을 노출시키는 잘못된 습관으로는 치아를 세게 문지르는 양치질, 잦은
탄산
음료 섭취 등이 있다. 이를 갈거나 꽉 무는 습관 등도 문제가 된다. 잘 때 이를 갈면 치아에 평소의 2~3배에 달하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진다. 이를 꽉 물거나 얼음 또는 사탕을 씹어 먹는 습관도 치아의 노화 ... ...
해수담수화로 이산화탄소 줄이고 마그네슘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고순도 '알칼리
탄산
마그네슘'과 '
탄산
칼슘'을 생성한다. 알칼리
탄산
마그네슘은 방염 특성이 우수해 건축 내장재나 고무 및 플라스틱 첨가제 등에 쓸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해양생물 생태계의 보전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는 평가를 ... ...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 기록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샘플을 얻을 수 있다. 기존 방법보다 벽화가 그려진 물감층에 물리적으로 더 가까운
탄산
칼슘의 연대를 측정할 수 있어 정확도가 향상된다. 연구팀이 이전 분석에서 연대가 4만3900년 전으로 측정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벽화로 알려진 인도네시아 마로스-팡켑(Maros-Pangkep)의 '사냥 장면 벽화'를 ... ...
탈황석고 재활용해 온실가스 감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미래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기후변화대응 핵심 기술이다”라며 “지질연이 보유한 광물
탄산
화 기술을 정부, 기업, 연구기관의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상용화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
한국인 여전히 짜게 먹는다…어린이·청소년 당류 섭취량 권고기준 초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식약처는 과자·빵·떡류보다는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고
탄산
음료보다는 물이나
탄산
수를 마시는 등 일상 속에서 당류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식품의 성분 표시를 확인하는 일은 나트륨과 당류 섭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품의 영양성분 표시를 ... ...
[과기원NOW] KAIST, 대만 포모사그룹과 첨단바이오·친환경에너지 협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사용해 나트륨 금속이 있는 전극을 공기로부터 보호하고 전지 구동 시 형성되는
탄산
염이 분해되도록 촉진해 나트륨-공기 전지의 성능을 높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24.04.27
프리스틀리였다. 프리스틀리는 양조장의 맥주 발효통 속에서 '이산화탄소'를 발견해
탄산
수를 만든 것으로 이미 유럽에서 유명했다. 1774년 그는 산화수은(Hg2O)을 가열해 이전에 알려진 적 없는 기체를 만들었다. 그는 이 공기 속에 쥐를 넣으니 더 오래 살았고 직접 마셔본 결과 상쾌했다는 기록도 ... ...
이산화탄소 먹는 콘크리트…연간 50만톤 탄소 감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진행되면 이산화탄소가
탄산
염광물로 전환돼 콘크리트 내부에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탄산
염광물이 콘크리트 미세조직 밀도를 높여 일반 콘크리트보다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산화탄소 저장소일 뿐 아니라 콘크리트 성능 향상, 시멘트 사용량 감소 등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 ...
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는 건강한 산호초 지역에서 확인되는 수치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
탄산
염 비축량은 구조물로 이식된 산호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근거"라고 밝혔다. 랭 연구원은 "우리가 본 회복 속도는 믿을 수 없을 정도였다"며 "모든 산호초 환경에 맞는 획일화된 해결책은 없지만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