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사
답사
탐방
조사
여행
모험
현지답사
뉴스
"
탐험
"(으)로 총 33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5대 DGIST 총장에 이건우 서울대 前 공대 학장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연구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학문과 연구의 선봉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탐험
하고 미래지향적 비전을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DGIST 총장은 이사회에서 선임돼 교육부 장관의 동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을 거쳐 임명된다. 이 신임총장의 ... ...
지구·달 거리 40배 우주서 광통신 수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1.26
금속 행성인 소행성 프시케를 묘사한 일러스트레이션.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먼 우주에서 지구로 레이저 광통신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향후 NASA가 심우주를 탐사하 ... 행성의 내부인 ‘핵’에 해당할 것으로 보고,
탐험
이 불가능한 지구 핵 대신 이곳으로의
탐험
을 선택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중에서 20세기에도 머리뼈 수술을 하곤 했다. 이미 카메라가 발견되었으므로 아프리카로
탐험
을 하러 간 유럽인들이 머리뼈 수술장면을 찍은 영상이 남아 있다. 신석기시대 유골 중에는 머리뼈 지름의 반에 이를 만큼 큰 구멍도 있다. 필자가 본 20세기 아프라카의 수술 영상 중에는 길쭉한 원 ... ...
"강원 정선 주민들과 중성미자 주제로 수다 떨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1.13
검출에 대해 설명하는 소중호 IBS 지하실험연구단 책임기술원. 정선=박건희 기자 "'우주를
탐험
하는데 왜 지하 1000미터 아래로 들어가요?'라고 묻던 아이들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그 아이들에게 중성미자 실험시설인 '예미랩'이 결코 잊을 수 없는 '땅 속의 우주'가 됐을 겁니다." 강원 정선군 소재 ... ...
금속 소행성 '프시케' 탐사선 발사...지구핵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인류가 탐사할 수 있는 유일한 금속성 행성으로, 지구의 핵을
탐험
하는 것은 현재 불가능하기 때문에 프시케를 통해 핵 부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NASA는 이러한 추정이 틀렸다는 게 이번 탐사를 통해 증명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햇빛으로 돌가루·먼지 녹여 달에 도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먼지가 날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인류가 태양계의 먼곳으로
탐험
하려면 달이 중요한 도약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달 도로 건설 작업은 달 탐사 및 연구를 위한 유용한 시설일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태양계를 탐사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연구팀은 ... ...
우주개발서도 중국의 약진...인류 활동 영역, 지구궤도에서 달 권역으로
2023.10.08
정신을 통해 지능만을 보유한 인공지능을 통제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주의 잠재력을
탐험
하기 위해 협력을 강조하는 IAC는 유발 하라리가 강조하는 ‘정신’을 바탕으로 나아가는 인류의 여정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내년 10월 14일부터 개최되는 제75회 국제우주대회는 이탈리아 ... ...
소행성 탐사는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23.10.08
도착할 금속질 소행성 “우리는 최초로 바위나 얼음이 아닌 금속으로 만들어진 세상을
탐험
한다.” 지금으로부터 8년 전인 2015년 9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6 프시케를 탐사하는 프시케 미션의 첫발을 뗐다. 2011년 이론 연구를 시작으로 2015년 가을부터는 대규모 연구팀을 꾸려 16 프시케 탐사 ... ...
[노벨상 2023] X레이의 DNA 파괴 순간 포착…'아토초' 시대 연 과학자들, 물리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날갯짓을 하는 벌새의 움직임도 따라가지 못하는 인간의 인지 능력으로는 전자의 세계를
탐험
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였다. 수상자들은 너무나도 빠른 전자의 세계를 포착하기 위해 아주 짧은 순간 존재하는 빛의 파동을 고안해냈다. 벌새의 날갯짓을 촬영하는 고성능 사진기에서 아주 짧은 시간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에 '100경분의 1초' 아토초 펄스광 고안한 과학자 3인 (2보)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위원회는 "실험을 통해 원자와 분자 내부의 전자 세계를
탐험
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내놨다"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에겐 2022년보다 약 100만 크로나 증액된 1100만 스웨덴 크로나(한화 약 13억 5894만원)이 수여된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