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론벌레
유해곤충
페스트
독충
유해 동물
악충
뉴스
"
해충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꿀벌 백신 최초 승인..."꿀벌은 인류 식량안보 첨병"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실종되는 ‘군집붕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응애류와 같은
해충
, 농약, 새로운 병원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세계 여러지역에서는 2010년대 들어 꿀벌의 30~40%가 사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은 아몬드부터 블루베리에 이르기까지 ... ...
[기후위기와 산림] 한국 산림의 탄소 흡수량 20년째 '감소중'
2022.11.10
2000년 이후 산지전용 면적이 비교적 일정한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고 산불과 병
해충
피해 면적도 점차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말한 요인이 최근 산림의 탄소 흡수량 감소 원인으로는 보기에는 어렵다. 산림의 탄소저장고. 김영환 제공 과도한 목재수확으로 인해 탄소 배출량이 증가한 ... ...
한글로 그린 멸종위기 동물..."존재이유 없는 생물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0.09
동물을 사랑하자’라는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이곳에는 멸종위기 동물뿐만 아니라
해충
으로 여겨지는 모기, 꿈에 나온 동물 이야기 등 다양한 작품이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숨탄것들’? 이게 무슨 뜻일까요. “숨을 쉬고 살아 움직이는 동물을 가리켜 ‘숨탄것’이라고 부릅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표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논문의 저자들은 멘델이 1853년과 1854년에 발표한 작물 병
해충
에 관한 짧은 논문이 지금껏 간과돼왔다며 이를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53년 논문은 무잎을 갉아먹는 나방 유충이 양배추로 퍼질 수 있음을 경고하는 내용이고 1854년 논문에서는 완두콩바구미 때문에 ... ...
'공격이 최선의 방어'…벌레 먹는 식충식물 출발은
해충
방어
연합뉴스
l
2022.07.12
연관 짓지 못하는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코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비식충식물이
해충
의 기계적 자극에 방어적으로 반응하는 것과 유사하게 (식충식물에서도) 칼슘이 자스몬산 반응과 연관돼 있고, 이를 늘리는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여줬다"면서 "이는 끈끈이주걱의 ... ...
떼로 출몰한 러브버그, 사랑스럽진 않아도
해충
은 아니야
연합뉴스
l
2022.07.06
러브버그들이 자연히 소멸할 것으로 예상한다. 더구나 러브버그는 굳이 따지자면
해충
보다는 익충에 가깝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사람에게 질병을 옮기거나 농작물을 해쳐 농사를 망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플리시아 니악티카는 사람을 물거나 쏘지 않아 위협이 되지 않는다. 다양한 ... ...
미국의 탄소중립 노력은 곡물 재배에서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8
방출량 증가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제슈케 씨는 “옥수수와 대두를 번갈아 심어 병
해충
관리에 유리하기 위해 적용한 농법이었지만 예상치 못한 탄소절감 효과도 보고 있다”고 말했다. 모종 기계를 설명하고 있는 제슈케 씨. 시카고=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제슈케 씨는 무엇보다도 ... ...
[르포]멸종위기 토종 '산개나리', 100년전 처음 발견된 곳에서 '10년째 복원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동일한 개체를 대량 번식하는 쉽고 빠른 방법이지만 군락의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져 병
해충
과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한 임업연구관은 “북한산 외에 강원 정선이나 경북 의성, 전북 임실 지역에 일부 산개나리가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지만 대부분 멸종하기 직전”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수확량에 큰 손실을 보고 있다. 그런데 재래종이나 가까운 야생종 가운데 특정 병
해충
에 저항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육종학자들은 교배를 통해 기존 품종도 저항성을 갖게 만들기도 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때로는 도입종의 바람직하지 않은 다른 특성을 없애지 못해 결국은 실패하기도 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도시화, 전세계 토끼풀 진화 방향 정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통해 생물 진화를 주도하는 만큼 도시 환경을 분석해 희귀종의 적응을 돕거나 반대로
해충
등을 피하는 도시 환경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봤다. 존슨 교수는 “도시화는 농촌과 자연환경을 지구의 생물다양성이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는 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있고 생명의 진화 또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