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상환
교환
이항
뉴스
"
호환
"(으)로 총 1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노담밴드의 튼튼섬 모험 전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6
발생하는 각종 오류를 사전 확인하고, 완성차 및 충전기 제조사 간 통일된 방식의 충전
호환
성을 확보함으로써 친환경 전기차 상용화에 기여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 ...
원자력연, 세계 최초 원전 제어기 보안난제 해결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연구팀은 병렬포트만을 지원하던 에뮬레이터를 분석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USB 포트와
호환
될 새로운 컨버터 케이블(변환 케이블)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케이블을 연결하면 기존 에뮬레이터를 병렬포트가 없는 컴퓨터에 꽂을 수 있다. 윈도우10이나 윈도우11 같은 최신 운영체제에서도 ... ...
안압 측정하고 약물 전달하는 콘택트렌즈로 녹내장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항녹내장 약물을 전달한다. 연구팀은 “이 콘택트 렌즈는 기존의 콘택트렌즈 제조공정과
호환
이 가능하다”며 “대규모로 그리고 비용 효율적으로 이 콘택트 렌즈를 생산해낼 수 있다. 사람에게 쓰기 위해 추가 임상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함병승 GIST 교수, 양자역학 핵심원리 새 해석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상관성이 유지된다는 양자역학 핵심원리다. 현재 통용되는 광소자와 광통신 기술과
호환
되는 미래 양자정보통신 기술의 토대가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VS 퀀텀 과학’에 온라인으로 1일 공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건 도시환경공학과 교수와 미국 ... ...
[과학게시판] 전기연, 감전 위험 없이 전기설비 내부 확인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11
것으로 기대된다. ■ 국립전파연구원은 스마트 온실에서 활용되는 장치들의 상호
호환
성 확보와 손쉬운 교체 등을 지원하는 스마트 온실 관련 국가표준 3종을 제정(11일 고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스마트 온실 노드 메타데이터, RS485/모드버스 기반 스마트 온실 노드·디바이스 등록 절차 및 기술 ... ...
연구개발 활동하는 기업들 "차기정부 디지털 전환 성공 위해 컨트롤타워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벗어나, 전 산업에서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메타 데이터 표준을 먼저 마련해 상호
호환
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유럽의 데이터 생태계 구축 프로젝트인 ‘가이아X’와 같이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 독점에 대항하여 우리 기업의 데이터 주권을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활용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9) 한국에도 우주발사체 심장 로켓엔진 찍어내는 공장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공급하는 중에도 누설이 전혀 없는 초정밀 가공과 조립이 필요하다”며 “조립하면서의
호환
성을 확인하고 순서를 배치하는 조립공정 프로세스를 수립하는 기술을 현재 확보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엔진을 검증하는 시험설비도 직접 만들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나로우주센터의 75t 엔진 ... ...
바람 타고, 초음파 타고…씨앗·박테리아서 영감 초소형 장치
연합뉴스
l
2021.09.23
적혈구 사이에서 움직이며 특정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하려면 생체
호환
성을 갖도록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또 많은 양의 로봇을 한꺼번에 보낼 때 일부 실패하는 로봇이 생기는 것에 대비해 생분해성 물질로 만드는 것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우 교수는 "약물을 ... ...
뿌리고 삼키고 들이쉬고…주사기 안쓰는 '민첩한' 코로나 백신·치료제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호흡기 장애 증상과 과민 면역 반응 위험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나타났다. 인공호흡기와
호환
이 되는 덕에 자가호흡이 힘든 중증환자에게도 약물을 빠르게 투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셀트리온도 자제 개발한 주사형 항체치료제인 '렉키노나주'를 스프레이형으로 개선 연구 중이며, 미국 ... ...
세계 첫 전기차 상호운용 적합성 평가기관 국내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전기차 급속충전은 통신과 충전 시퀀스 관련 소프트웨어
호환
성 문제로 에러가 자주 발생한다. 전기차 시장에서 다수의 완성차 기업들과 다양한 충전기 사업체별로 표준이 달라 급속충전시 충전이 안되거나 중단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기차와 충전기간 상호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