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황국
유화
황화현상
경화
가류
뉴스
"
황화
"(으)로 총 1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GIST, 손실 억제 신기술 적용...세계적 수준 광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광전극의 니켈 포일 보호층에 합성된 니켈-철 이중층수산화물 촉매를 철이 도핑된
황화
니켈 촉매로 바꿔 광생성 캐리어의 손실을 억제했다. 이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인 12.8%의 광전극 효율을 달성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 6월 17일자에 실렸다 ... ...
화재위험 낮은 전고체 전지 상용화 이끌 전해질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06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습식기반
황화
물계 고체 전해질 공정기술를 산업화 규모로 구현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5월 3일자에 게재됐다. ... ...
화재위험 낮은 전고체전지용 전해질 대량생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5
첨가제나 추가 공정 없이도 양질의 고체전해질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비용은 기존
황화
리튬을 사용했던 재료비 대비 25분의 1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제조 공정 시간도 줄여 고체전해질의 대량생산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준호 선임연구원은 “유기 용매 내에서 ... ...
[과기원은 지금] DGIST 학사과정생, 화학분야 SCI급 학술지에 주저자 논문 게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스’에 지난 3월 9일 게재됐다. 연구팀은
황화
물 기반 전고체전지의 화학 및 기계적 열화를 완화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양극-고체전해질의 계면을 인공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유기 전해질 첨가제를 코팅 소재로 도입했다. 기존 리튬이온 전지에서 ... ...
화재 위험 없는 '전고체 전지' 언제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소재를 발견하지 못해 활용에 필요한 충분한 출력을 내지 못했다. 현재 소재 후보군으로
황화
물과 산화물, 고분자 등이 발굴되며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전해질 소재 외에도 전극 등 분야 전반에서 연구가 진행되며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 ...
화재 위험 없는 차세대전지 상용화 이끌 '
황화
실리콘'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사용하거나, 특수 공정을 도입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며 “이번 연구로 고체전해질용
황화
실리콘을 저렴하고 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터리얼즈 케미스트리 에이’에 지난 14일 표지논문으로 공개됐다. ... ...
화재‧폭발 위험 낮은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연구팀은 상온·상압 조건에서 고탄성·고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 소재를 합성하기 위해
황화
물 아지로다이트 소재의 결정학적 특징에 주목했다. 이론적으로는 이온전도성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열역학적 불안정성으로 소재가 실용적으로 합성된 사례가 없었다. 또 일반적인 슈퍼 이온전도성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핵심 기술이다. 사람이 내쉬는 호흡에는 다양한 생체지표 가스(수소, 아세톤,
황화
수소, 톨루엔 등)들이 포함돼 있어 특정 가스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조기에 질병을 간단히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생체지표 가스인 수소는 매우 미량의 농도인 ppm(100만분의 1) ... ...
[과기원은 지금] KAIST팀 상금규모 26억 해양로봇대회 결선 진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중 가장 큰 규모다. ■노용영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열증착 공정으로
황화
비스무트로 고성능 N형 반도체와 텔루륨 고성능 P형 반도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개발에 성공한 방식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표준방식으로 OLED 디스플레이 제조 ... ...
[과기원은 지금] '2022 GIST 과학문화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신소재공학과 손재성 교수 연구팀이 성냥개비 형상의 '
황화
은-
황화
카드뮴 무기물 나노 계면활성제' 제작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활성제 표면의 친수성과 소수성을 조절하면 다양한 형상의 자기조립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나노 수준에서 '분자형 계면활성제'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