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뉴스
"
흥미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과학자인 것처럼" 대한민국 과학축제 25일 대전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즐길 수 있도록 커다란 연구실로 준비했다"며 "축제가 아이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
와 호기심을 키우고 미래의 훌륭한 과학자로 커나갈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과학축제 운영 프로그램과 행사 등 자세한 내용은 과학축제 웹페이지(www.scienceall.com/sciencefestival2024)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한 기고문에서 “라스(Ras)를 길들이지 못하면 암과의 전쟁에서 이길 수 없다”고 썼다.
흥미
롭게도 베무라페닙의 표적인 변이 RAF 단백질은 라스의 신호 전달 경로에 놓인 효소다. 라스 단백질 구조를 밝힌 실험실 출신으로 변이 라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에는 끝내 성공하지 못한 장 ... ...
"화 난 감정 종이에 적고 폐기하면 분노 줄어들어"
2024.04.14
평가를 맡은 박사과정 학생들은 내용과 상관없이 참가자들이 작성한 글에 정보 충족,
흥미
, 친절함, 논리성, 합리성 면에서 낮은 점수를 줬다. 또 "교육받은 사람이 이런 생각을 하다니 믿을 수가 없다", "이 사람이 대학에 있는 동안 잘 배웠으면 좋겠다" 등 부정적인 평가도 전달했다. 부정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계열이 오크라톡신(ochratoxin)으로 누룩곰팡이속과 푸른곰팡이속의 몇몇 종이 만들어낸다.
흥미
롭게도 오크라톡신의 구조를 보면 일부가 시트리닌과 꽤 비슷하다. 생합성 과정에서 몇몇 효소를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오크라톡신인 오크라톡신A의 신장독성은 시트리닌보다 10배 이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세기를 5분의 1 수준으로 줄이자 정상 개체도 돌연변이체처럼 성장 속도가 느려졌다.
흥미
롭게도 빛의 총량이 같아도 시간대에 따라 빛의 세기 분포가 다르면 성장 속도가 다르다. 장일 조건에서 오전에 빛이 약하더라도 오후에 충분하면 잘 자라지만 그 반대에서는 성장이 느려진다. 오후에 ... ...
천문학계 논란 지핀 중력이론..."암흑물질은 신기루"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암흑물질이 제시된 지 100년이 됐지만 아직 정체를 모른다”며 “대안중력 이론은
흥미
롭지만 관측을 통한 입증이 필요해 아직 갈 길이 먼 분야”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26개를 찾았고 이 가운데 7가지 에스터 분자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흥미
롭게도 감귤녹화병에 걸린 오렌지의 열매는 오렌지 느낌의 향이 약한데 분석 결과 에스터 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기 프로파일 그래프로 가로축은 오렌지 향 점수, 세로축은 만다린(귤) 향 ... ...
수학 싫은 생명과학자가 데이터·AI 과학자와 만난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2
거는 기대도 있을 거 같다. 전=정기적으로 사람들과 만나 소통하면서 단순
흥미
가 깊은 관심으로 바뀌고 연구 주제로 발전하는 좋은 자극을 받고 있다. 연구비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환경에서 연구하고 있기 때문에 좋은 결과들이 많이 나올 것으로 생각되고 나 또한 거기에 일조할 수 있는 ... ...
우울증 환자 쾌감 못 느끼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무쾌감증을 보이는 실험동물의 전전두엽을 활성화하자 갑자기
흥미
가 없던 것에
흥미
를 보였다. 설탕물에 관심이 없던 실험동물이 설탕물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 무쾌감증을 보이는 실험동물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도 발견했다. 전전두엽의 전사체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질량 데이터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 결과
흥미
로운 패턴이 나왔다. 중성자별의 질량은 태양의 2배를 넘지 않았고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5배를 넘었다. 질량이 태양의 2배에서 5배 사이 범위에는 중성자별도 블랙홀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런 현상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