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스페셜
"
거리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않는 지점까지 10년이나 걸려 로제타호가 찾아간 것이다. 보통 혜성은 소행성대가 있는 3AU
거리
를 지나면서 가스와 먼지를 분출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혜성이 이곳에 도착하기 이전에 탐사선이 도착해야만 하는 것이다. 지난 2014년 8월 로제타호가 혜성 67P와 만난 곳은 안전한 4AU의 위치이지만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에어아시아 같은 저가항공사는 이런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장
거리
교신이 가능한 단파 무전기로 주기적으로 항공기의 자기 위치를 가까운 공항이나 항공사에 입으로 불러 주기는 하지만 정확도는 현저하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날씨가 좋지 않은 날은 잡음이 많아 잘못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KISTI 과학향기 제공 영화 ‘인터스텔라’가 폭발적 흥행 몰이를 하면서 웜홀(worm hole)이나 블랙홀(black hole), 상대성이론과 같은 물리학 용어들 ... 우리가 별로 간 그대가 되기를. 웜홀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며 언제든 내키는 대로 수십만 광년의
거리
를 한달음에 왔다 갔다 하는 인간을 말이다 ... ...
[기술이 바꾼 미래] 병든 도시를 건강한 도시로 바꾼 수세식 변기
KOITA
l
2014.12.08
배수관이 없다. 거주자들이 집 밖의 통행인에게 큰 소리로 경고한 후 모든 오물을
거리
에 버릴 수밖에 없었던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당시의 사람들은 고대 로마제국의 배수관(De Aquae urbis Romae)에서 힌트를 얻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식수나 관개수를 운반하기 위해 아치형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
IBS
l
2014.11.13
이전까지는 홈 속에 얌전히 잘 자리잡고 있던 전자들이 회로선의 간격이 일정
거리
미만으로 줄어들면 '양자 터널링' 효과에 의해 인접한 회로선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근 생산라인에 투입되는 2, 30nm대 공정에서는 전자들의 터널링 효과를 막기 위해 홈 사이에 나노소자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아베(Ernst Abbe)가 가시광선의 파장 길이인 400나노미터의 절반보다 작은 두 물체 간의
거리
는 빛의 회절 한계로 인해 일반 광학렌즈로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하면서 '아베 회절 한계'는 정설로 자리 잡았다. 이번 수상자들은 새로운 방식을 도입해 회절 한계를 극복해냈다. 베지그 소장은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과학자들을 자랑하는 데 열을 올린다. 매년 7월 14일 오전에는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
에서 혁명기념일 축하 퍼레이드가 열린다. 이 퍼레이드의 맨 앞줄은 미래 프랑스의 과학기술을 이끌어 갈 에콜폴리테크닉(Ecole Polytéchnique) 학생들의 차지다. 러시아는 이번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33개 ... ...
[Green Economy_지역 최고의 녹색기술]국내 첫 녹색시범도시 강릉을 체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차로 3시간 걸리는
거리
에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범도시’ 강릉시가 다. 아직 완성되지 않은 저탄소 녹색도시를 미리 체험하기 위해 ‘강릉 녹색도시 체험센터’를 찾아갔다. 태양광, 지열 등 청정에너지만 사용하는 이곳은 지난해 외부의 에너지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생산ㆍ소비하는 명실상부한 ... ...
[MATH] 반(半) - 자장면과 종이접기
KISTI
l
2014.07.21
반으로 나누는 것에 관하여 알아보자. 외국에서는 이 종이 반접기가 꾸준한 토론
거리
가 될 만큼 관심을 받고 있다. 그리고 2001년 12월에 종이를 반으로 접는 문제를 ‘수학적으로’ 풀어낸 사람이 있었다.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브리트니 걸리반(Britney Gallivan)’이라는 여성은 종이를 반으로 접는 ... ...
우리 가족의 재밌는 ‘과학캠핑’ 즐기기
KISTI
l
2014.07.02
내린다. 거기가 남쪽이다. 북두칠성 앞부분의 두 별을 이어서 선을 그으면 두 별 사이
거리
의 5배 쯤 되는 곳에 북극성이 있다. 셋째는 ‘불 피우기’다. 특히 탁탁 소리를 내며 타들어가는 나무 장작의 불꽃을 바라보고 있으면 일주일 동안의 고난과 시름이 눈 녹듯 사라진다. 꼬치에 음식을 꿰어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