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스페셜
"
두개골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뇌 발달에 치명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변이는
두개골
뒷부분을 약간 덜 둥글게 만들 뿐 뇌 기능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가진 현대인은 뒤통수가 튀어나오긴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가장 덜 나가는 포유동물이다. 그나마 대뇌피질도 주름이 거의 없어 표면적도 작다. 뇌는
두개골
내부의 60%를 차지할 뿐이고 나머지는 뇌척수액이 채우고 있다. 폴란은 “코알라에게 뇌보다 중요한 것은 소화관”이라며 “섬유질이 많은 잎들을 모두 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소화관이 커야 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걸 본 적이 있는데, 부러워할 건지는 모르겠지만 제대로 보기는 했다. 백인들의
두개골
은 동북아시아인들에 비해 좌우로 짧고 앞뒤로 길어 정면에서 보면 얼굴이 더 작아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 평균 뇌용량도 약간 작다. 그리고 흑인의 뇌용량은 백인보다도 더 작다. 원주민을 대상으로 한 뇌용량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더 크다. - Wikimedia Commons/Dr MikeBaxter 제공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
화석 각 4개를 컴퓨터 시각화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했다. 그 결과 뇌 용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호모 사피엔스의 소뇌가 약 8배 가까이 더 컸고, 뒷통수는 더 작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현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늑대개와 다르다. 즉 오늘날 벨기에 지역에서 발굴된 3만6000여 년 전 개과(科) 동물의
두개골
형태를 분석한 결과 늑대보다는 개에 가깝게 보이지만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는 오늘날 늑대와 개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따라서 이 계열은 멸종했을 가능성이 크다) 잠정적으로 늑대개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우리가 익숙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차이보다 적지 않을까. 글과 함께 실린
두개골
비교 사진을 보면 그런 것 같다. 1962년 전문가들조차 이 화석을 ‘아프리카의 네안데르탈인’이라고 불렀을 정도다. 43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은 옆에 있는 6만~4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과 안와 상부 융기 등 얼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영양부실에 따른 만성빈혈로 인한 증상이다. 즉 안구를 감싸는 뼈인 눈확의 위쪽이나
두개골
에 구멍이 숭숭 뚫린 골다공증을 보이는 비율이 동주시대 여성에서 훨씬 높았다. 반면 양사오문화에서는 이런 비율이 낮았고 남녀차이도 없었다. 한편 키를 반영하는 넙다리뼈(대퇴골)와 정강뼈(경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0가지 길이를 측정해 SNP와의 관련성을 조사했는데 5가지에서 관련된 자리를 찾았다. 먼저
두개골
폭과 관련된 자리가 두 곳(14번 염색체와 20번 염색체)이고 양안 간격(두 눈 사이 거리)과 관련된 자리가 두 곳(1번 염색체와 X염색체)이었다. 코 넓이와 관련된 자리가 한 곳(20번 염색체), 콧방울에서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약 13억 원)를 들여 고인류 화석에서 DNA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연구실을 만들었다. 이번
두개골
이 발굴된 지점과 한반도는 1000km가 조금 더 되는 거리다. 그리고 10만 년 전이면 한반도는 반도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서 데니소바인의 뼈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릴 날을 꿈꿔 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공동저자로 이름이 오른 마이크 모우드 교수는 2013년 63세에 암으로 사망했다. 호빗
두개골
을 지켜보는 포즈를 취한 모우드 교수. - 울런공대학 제공 ● 호빗의 연대추정 오류 밝혀져 이보다 앞서 ‘네이처’ 4월 21일자에는 약간 허탈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1만 8000년 전 으로 추정됐던 호모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