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스페셜
"
선진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2030년까지 우주 일자리 2만개 만든다" 호주 우주전략
2022.07.08
등을 추진하며 국제협력의 외연도 넓히고 있다. 자국의 우주 관련 기관 또는 기업이 우주
선진
국들이 추진하는 주요 프로젝트에 참여해 한수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2020년 10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주도하는 국제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에 합류한 ... ...
누리호 큐브위성 KAIST 이어 서울대팀 양방향 교신 성공…5일 마지막 추가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2.07.04
큐브 위성을 사출했다. 큐브위성 사출 기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참여하고 있는 일부
선진
국들이 가지고 있다. 일본은 ISS에 붙어있는 일본 실험모듈에 큐브위성 사출장치를 설치하고 군집위성기업들과 개발도상국들의 큐브위성을 저궤도에 올려주고 있다. 서울대의 큐브위성인 ‘스누글라이트- ... ...
누리호 첫 사출 큐브위성 "통신시스템 이상"…"정상 운용 어려울 듯"
동아사이언스
l
2022.07.04
발사할 예정이다. 큐브위성 사출 기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참여하고 있는 일부
선진
국들이 가지고 있다. 일본은 ISS에 붙어있는 일본 실험모듈에 큐브위성 사출장치를 설치하고 군집위성기업들과 개발도상국들의 큐브위성을 저궤도에 올려주고 있다. KAIST팀의 랑데브와 ... ...
[우주산업 리포트]항우연 원장은 왜 세계 6위 우주
선진
국 인도와 격차가 크다고 했을까
2022.07.01
인도의 첫 태양 탐사선 ‘아딧야 L1’ (Aditya-L1) 지난 21일 한국이 독자 개발한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이로서 한국은 세계 7번째로 1t 이상의 실용급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할 수 있는 나라가 됐다. 하지만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이에 만족하지 못하는 듯하다. 이 ...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양방향교신 성공 "투입능력 검증"...독자 우주개발 능력 적용 첫 시범사례는 '큐브위성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사출할 예정이다. 이런 큐브위성 사출 기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참여하고 있는 일부
선진
국들이 가지고 있다. 일본은 ISS에 붙어있는 일본 실험모듈에 큐브위성 사출장치를 설치하고 군집위성기업들과 개발도상국들의 큐브위성을 저궤도에 올려주고 있다. 성능검증위성에는 전용 카메라가 ... ...
[일문일답] 누리호 21일 오후 4시 발사..."한국이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것으로 예상 못했다. 하루 전 작업 진행 하는 과정에 기계적 센서에 문제가 발생했다.
선진
국 과정에서도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다. 일반적으로 발사 일정 잡을 때 예비일을 포함한 날짜로 잡는 이유다. 발사 디데이 잡아서 진행하는 과정, 새롭게 준비 하는 과정에 있어 많은 연구원들이 의기 ... ...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
2022.06.17
투입이 요구되는 것이 우주개발이기 때문이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우주예산과
선진
적 기술력을 보유한 미국도 허덕이는 수준이다. 미국이 국제우주정거장(ISS)을 정치 군사적 라이벌인 러시아를 비롯해 일본, 캐나다, 유럽우주국 등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이유 중 하나도 자국의 경제적 기술적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
2022.06.16
기술직 연구원은 위계로 구분된다. 하지만 프라운호퍼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선진
국의 오래된 실험실과 연구소엔 그 연구소를 오랫동안 지켜온 기술직 연구원들이 포진하고 있고, 이들이 연구소의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선 석박사 학위가 현장경험보다 우선시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가장 중요한데 일정을 맞추도록만 하면 이벤트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
선진
국들은 큐브위성을 우주기술 검증의 장으로 활용하는 만큼 한국에서도 큐브위성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방 교수는 “우주는 발사횟수가 중요한 만큼 위성을 하나 쏘아 무슨 기술을 ... ...
누리호 두 번째 도전, 맨 앞자리엔 '이들'의 꿈도 함께 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697기에 이른다. 지난해 발사된 큐브위성 326기의 두 배가 넘는다. 방 교수는 “우주
선진
국의 성공은 많은 발사를 통해 얻은 시행착오로 만들어진 것”이라며 “한국과 같은 우주 후발주자는 기술을 검증하는 전략으로 자주 쏠 수 있는 큐브위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누리호 2차 비행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