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스페셜
"
선택
"(으)로 총 1,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물론 과학이 틀려서가 아니다. 과학을 자의적·임의적으로 해석하고 멋대로 취사
선택
한 어설픈 '짝퉁 과학' 때문에 벌어지는 안타까운 일이다. 무엇이나 일방적으로 '과학적'이라고 우기면 설득력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의대 증원에 대한 과학적 근거도 충분히 제시했다는 것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달걀흰자에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라이소자임(lysozyme)이 들어 있으므로 좋은
선택
이었다. 파레가 쓴 총상 치료에 대한 논문은 프랑스어로 씌어졌으므로 당시에 국제어라 할 수 있는 라틴어보다는 파급효과가 적었다. 그래도 반밀레니엄이 지난 지금 그가 '외과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수도권 학생들의 불평도 있다. 고등학교에서도 '자퇴 후 검정고시'의 힘겨운 길을
선택
하는 학생이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수시 전형으로 의대에 합격하려면 고등학교 3년 동안 거의 모든 과목에서 1등급을 받아야만 하는 현실이 만들어내는 황당한 일이다.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시험에서 1등급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갖고 있다. 짝짓기를 할 배우자를 찾을 때 날개의 패턴을 따진다. 사람과 같이 짝을
선택
할 때 시각적 정보에 기반한 '용모'를 따진다는 것이다.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를 비롯한 헬리코니우스속 나비들에게선 이같은 구애 습성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헬리코니우스 속 나비들의 독특한 구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만약에 나에게 도움이 되는 도전이라면 기꺼이 받아들일 것(유익한 스트레스 상황을
선택
) ② 도움이 되는 스트레스라고 판단했다면 이 상황이 주는 불편한 감정에만 집중하기보다 이를 이겨내는 방법들에 집중(주의 배분) ③ 그저 다 잘 될거라고 생각하는 등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만 집중하기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심는 단일농법은 감귤녹화병 같은 병이 돌면 치명상을 입는데, 경직된 법규가 대안
선택
을 망설이게 하기 때문이다. 머지않아 오렌지 과즙이 없는 오렌지 주스가 나오지 않을까. 서아프리카에 자생하는 좁은잎커피나무(C. stenophylla)의 커피 향기 프로파일(분홍색)은 고급으로 평가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입학정원을 모두 합쳐도 1700여 명일 뿐이다. 사실상 수능에서 미적분·기하와 과학을
선택
하는 소위 ‘자연계열’ 학생들에게는 최상위권 대학이 하나 더 생기는 셈이다. IMF 이후에 본격화되기 시작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의대 쏠림’이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이제 의대는 단순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발전하는 것이 아니다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이 '종의 기원을 통해 ‘자연
선택
’을 기반으로 하는 진화론을 주장하자 곧 반대 여론에 부딪히게 되었다. 무엇이든 오래 믿어 온 진리를 한 순간에 뒤바꾸는 것은 앞선 진리를 믿고 있던 사람들이 자신의 오류를 인정해야 함을 의미하므로 ... ...
[과기원NOW] KAIST,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채널 하부에 전극을 배치하고 금속·반도체 접합 특성을 개선해 전자와 정공 모두
선택
적으로 흐를 수 있는 양극성 특성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지난달 26일 게재됐다. ■ 포스텍은 이형주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관심을 끌 것이라는 판단에 리보솜 구조 관련 최초의 대중강연 연사로 라마크리슈난을
선택
했다. 그 뒤 라마크리슈난은 mRNA와 tRNA가 달라붙은 리보솜 구조를 밝혀 번역의 분자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등 후속 연구를 이어갔고 결국 놀러를 제치고 수상자가 됐다. 박테리아는 세포벽 구조에 따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