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체
몸
체격
육신
체구
골격
인체
스페셜
"
신체
"(으)로 총 55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코로나 백신 부작용 '혈전' 피하는 단백질, 곰한테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 돼지, 곰에게서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단백질의 작용이 규명됐다. 이 단백질을 활용하면 질환 등으로 장기 ...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이 단백질은 진화과정에서 혈전을 막아주도록 발달한
신체
의 비밀을 푸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연구팀은 불안 및 공포 반응은 뇌에서 일방적으로
신체
에 전달하는 신호체계 말고도
신체
에서 뇌로 전달되는 감정 신호체계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신체
-뇌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부정적 감정이 표현된다는 증거를 제시하게 된 것이다(doi.org/10.1038/s41586-023-05748-8).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통해 ... ...
[박정연의 닥터스] “몸도 기억하는 트라우마...
신체
로 치료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관찰하며 몸을 습관적으로 잘못 쓰는 방식을 교정해나가는 데서 나온 방법이다.
신체
감각에 익숙해지면서 문제 증상에 점차적으로 대응해나갈 수 있다. 소마틱스 기법은 현재 연구 단계다. 대학병원에선 아직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 기법이 검증되려면 많은 시간과 연구가 필요할 ... ...
[오늘과학] 인류는 5000년 전부터 말을 탔다..."역사 전환점"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발 뼈, 척추에서는 부러졌다가 아문 흔적도 발견됐다. 이는 승마인에서 나타나는 전형적
신체
변형과 흡사하다. 연구팀은 “유골에서 이런 특징이 나타나는 것은 이들이 정기적으로 말을 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그간 분석에 따르면 말은 기원전 3500년에서 기원전 3000년 사이 가축화가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brain stem)을 거쳐 전뇌 및 후뇌의 여러 영역에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신체
내 기전들이 특정 패스트푸드 메뉴나 음식점을 찾게 해주는지는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장-뇌축 연결의 정체를 찾는 연구들을 통해 조금씩 답을 찾아가는 듯 하다. 미국 예일대(Yale ... ...
[오늘과학] 영화 '워낭소리' 감동...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제이디에스커뮤니케이션즈’에 20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체
적, 정서적 건강을 포함한 송아지의 ‘웰빙’은 유제품 업계 최우선 순위다. 송아지의 발육이나 우유 생산량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송아지의 정신적 건강은 흔히 ‘빨기’ 같은 비정상 행동을 보이는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만성통증 극복 운동은 '자주, 꾸준히'
2023.02.11
운동을 하고 있다. 지겨운 만성 통증을 완화시키는 게 목표다. 1여년 전부터 별다른
신체
적 이상 없이 귀 속이 웅웅 울리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따끔거리다가 전기가 오르는 듯한 통증을 겪기 시작했다. 진단명은 섬유근육통(Fibromyalgia)이었다. 치료를 시작하면서 많이 좋아졌지만 섬유근육통을 비롯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건강하지 못한 것인가. 평생 혈액내 저밀도 지단백 수치가 정상이던 사람이 최근
신체
검사에서 정상범위를 살짝 벗어났다면 건강하지 못한 것인가. 또 3년간 연속해서 저밀도 지단백 수치가 계속 상승하여 정상치의 최고수준까지 올라갔지만 아직은 정상범위내에 있다면 건강한 것인가. 건강과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유래하는 단백질은 나이가 듦에 따라 점차 혈중 농도가 감소하는 반면, 운동 등과 같은
신체
활동에 의해 농도가 다시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인터루킨6(IL-6)이 골아세포에서 오스테오칼신의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의 오스테오칼신은 뇌까지 도달할 수 있다.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이 프로그램은 미국 내 여러 연구기관들의 협력연구체계를 통해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
변화의 ‘분자 지도’를 만들겠다는 야심찬 목표(https://motrpac.org)를 갖고 있다. 다양한 오믹스 기술들을 종합하여 운동에 의해 변화한 동물 및 인간 샘플 내 분자 변화를 추적하고 그 결과를 일반 대중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