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스페셜
"
열
"(으)로 총 1,0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
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
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AI로 밤에도 낮처럼 물체 인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9
AI를 이용해 이러한 단점을 극복했다. AI를 기계학습시켜 각종 물체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
신호가 각각 어느 물체에서 나오는 것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것이다. 연구팀은 "도시와 시골, 주간과 야간이라는 다양한 환경에서 시행한 실험에서 HADAR이 기존 조명 기반의 컬러 스테레오비전과 비슷한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작동기전을 통해 닫혀있던 학습의 결정시기를
열
고 새로운 학습과 기억을 만들어내어 PTSD와 같은 기억 관련 장애를 치료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아직 국내에서는 여러 위험성 및 사회적 인식 때문에 활발히 연구할 수는 없는 연구분야이지만 미국 및 유럽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
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주장도 소가 들어도 웃을 정도의 가짜 과학이다. 원자나 분자는 너무 작아서 중력보다
열
운동의 영향이 더 중요하다.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원자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밝혀낸 꽃가루의 브라운 운동이 바로 그런 현상이다. 일반적인 물과 화학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삼중수소수(水)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
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
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
풍
2023.06.20
과학영재교육을 냉정하게 정리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과학영재교육의 과
열
을 부추긴 언론‧관료‧전문가의 뼈를 깎는 반성이 필요하다. 선정적인 언론의 비뚤어진 관심, 경직된 관료의 성과주의, 어설픈 전문가의 이기심이 과학영재교육을 망쳐버린 3대 요인이었다는 뜻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반면 타우린은 가격이 수십 분의 1 수준이다. 생화학 교과서에 생체 분자 등장 빈도로
열
손가락 안에 들 NAD+에 비해 아예 나오지도 않는 타우린을 무시해온 나 자신을 반성하며 타우린 보충제 주문 버튼을 클릭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