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예민"(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관계를 우선시하는 특성 E. 신경증: 부적정 정서성 또는 정서적 불안정성. 작은 일에도 예민하고 스트레스를 잘 받음. 쉽게 알람이 울리는 특성 2. 성격은 ‘독립적’: 보통 한 특성이 높으면 다른 특성들도 따라서 높거나 낮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다섯가지 특성이 서로 독립적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나타나는 논점 흐리기 방법 중에는 ‘그런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한 애들이 괜히 예민하게 구는 거다!’라며 문제의 심각성을 평가절하 하거나 문제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있다. 문제 해결 방법이 마음에 안 들거나 자꾸 불편한 사안이 문제로 올라오는 것이 싫을 때 자주 사용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사이에서 '여자처럼 굴지마'라는 말이 욕이 될 때, 그 정도는 성폭력이 아니라며 ‘예민하게 굴지마. 원래 다 그래'라는 소리를 들었을 때, 사회는 아직도 강간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으며 따라서 여성이 조심해야 하는 문제라고, 되려 강간범을 옹호하고 피해자를 단죄함을 느꼈다고 한다. 당신은 ... ...
- 흉악범도 용서할 수 있을까2017.07.08
- 미안해’처럼 본인을 사건과 상관 없는 제 3자 처럼 포지셔닝하고 또한 마치 피해자가 예민한 탓인 양 하지 말 것, 3) 그 일은 분명 자신의 잘못과 책임임을 명시할 것 등이다. 보통 진심어린 사과와 책임지는 행동이 있을 때 진심어린 용서가 나오는 법이다. GIB 제공 또한 보통 용서는 ‘타인(other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오이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이 분자들에 결합하는 냄새수용체 유전자의 SNP 때문에 예민하거나 불쾌하게 느끼는 것일지 모른다. 아쉽게도 노나디에놀과 노나디엔알이 결합하는 냄새수용체의 유전자에 대한 정보는 찾지 못했다. 사실 냄새수용체 400가지 가운데 리간드가 밝혀진 건 10%인 40여 ... ...
- [사이언스 지식IN] ⑤ 곧 B형 독감이 유행한다고요? A형 독감과 무엇이 다른가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6
- 본인이 A형 독감에 걸렸는지, B형 독감에 걸렸는지 구별하기는 어려운 정도입니다. 아마 예민한 사람이라면 강도를 느끼는 정도인 것 같습니다. A형이 조금 더 아프다고 하네요. 기본적으로 A형 독감과 B형 독감 모두 고열, 콧물, 기침, 인후통, 관절통, 근육통,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
- [지뇽뇽의 色수다] (ep3) 키스의 과학2016.12.11
-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부위 중 가장 크게 노출된 부위라고 한다. 입술의 감각은 매우 예민하기도 하다. 인간의 뇌에서 면적대비 가장 많은 감각 신호가 처리되는 신체부위 중 하나가 입술이다. ● 키스의 기능은 무엇일까? 다양한 연구들에 의해 밝혀진 키스의 기능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나지 않았던 것이다. 사실 방에서 난 발 냄새도 미미했을 텐데 아마 당시 필자의 코가 꽤 예민했었나 보다(필자의 후각이 좀 발달한 편이긴 하다). 그런데 상황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어머니가 드시고 있는 나토의 누런 콩 덩어리를 보자 갑자기 청국장이 먹고 싶어졌다. 추울 땐 김이 모락모락 ... ...
- 몸에 좋은 성격 이야기2016.08.02
- 우리는 이런 자신의 성격에 대한 ‘대처 방식’을 훈련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남들보다 예민해서 걱정을 잘 하는 성격이라면, 일단 그런 자신의 성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걱정을 내려놓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친한 친구에게 털어 놓기, 일기 쓰기, 각종 취미 활동 등)을 생활화 하면 된다는 ...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2016.06.07
- 낮은 아이들은 환경에 따라 만족 지연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환경에 예민한 아이들만이 자신이 속한 환경의 자원 상태에 따라 만족을 지연하거나 반대로 바로 취하는, 환경에 기반한 판단과 행동을 보였다. 물론 부교감신경 긴장도라는, 간접적인 한 가지 지표만 가지고 환경 단서에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