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스페셜
"
원자
"(으)로 총 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지구가 대기오염 물질을 스스로 정화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위키미디어 제공 산소와 수소
원자
가 하나씩 결합한 수산기(OH)는 화학적 분해·제거 효과가 뛰어나 대부분의 오염물질 살균·소독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기 중 유독가스인 이산화황과 산화질소, 탄화수소 등 유해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기 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소재 '맥신'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2011년에 처음 발견된 맥신은 2차원 평면구조로 전이금속에 탄소 또는 질소가 결합해
원자
두께의 층으로 구성된 나노물질이다. 맥신은 전기전도도가 높으면서도 말단에 존재하는 수산화기나 산소로 인해 친수성이 있어 용액공정이 가능하다. 또 다양한 전이금속과 13족 또는 14족 원소, 탄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공간을 넓혀주자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 같은 작은 분자는 너무 헐거워 붙지 못하고 탄소
원자
8개인 카프릴산 분자가 오히려 꼭 맞아 수용체를 활성화했다. 그렇다면 비활성 상태인 수용체에 리간드가 붙어 활성화될 때 구조가 어떻게 바뀌는 걸까. 아쉽게도 비활성 상태 구조를 분석하는 데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받는 차유진 KAIST 의과학연구센터 연구 조교수가 졸업생 대표연설을 한다. 그는
원자
력및양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해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가 됐지만 골육종을 앓던 어린 환자의 죽음을 계기로 다시 과학자의 길을 걷기 위해 2018년 모교로 돌아왔다. 의사가 환자의 병을 ... ...
[과학게시판] AI 혁신허브 연구용 데이터센터 개소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15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규제기관의 대응 방안과 소형모듈
원자
로(SMR) 등 새로운 기술에 대한 규제 조화 및 인력양성, 지식관리 등이 논의됐다.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사업 설명회가 15일 개최됐다. 이날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2023년 실험실 특화형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깨지지 않는 물질의 기본 입자”라 했지만 지금은 사이클로트론과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원자
를 깨는 것도 가능해졌다. 과학의 진리도 그 시대상황을 반영할 것일 뿐 절대적 진리는 아닌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구별하기 어려운 질병과 건강 지금은 거의 일상이 되다시피했지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성질체 선택적 합성으로 신약 개발 속도 '업'
동아사이언스
l
2023.01.22
제공 맨 앞의 탄소분자가 고무줄에 매달린듯 흔들리고 있다. 3개의 탄소
원자
가 연속적으로 이중결합해 만들어지는 '사이클릭 알렌'의 구조를 형상화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항산화 특성이 있어 제약에 활용되는 물질인 리소덴도르산 A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데 활용되는 사이클릭 알렌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기능성 양극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최적화된 전자구조를 지닌 철
원자
기반 기능성 소재를 양극에 도입해 리튬 폴리 설파이드의 용해 현상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리튬 폴리 설파이드가 불용성의 리튬 설파이드로 전환될 수 있는 반응성을 개선했다. 전지 내부에 소량의 전해액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물질 대사에서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분자인 아세틸CoA의 아세틸기가 바로 탄소
원자
두 개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C2는 미생물이 바로 쓸 수 있는 먹이다. 한편 생분해성이 큰 바이오플라스틱인 PHA는 이미 상용화가 됐지만 아직 널리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석유로 만드는 기존 플라스틱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물론 기후 변화를 걱정하는 환경주의자들이 들먹이는 ‘탄소’는 화학에서 사용하는
원자
번호 6번의 ‘탄소’가 아니다. 오히려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악당으로 알려지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말한다. ‘탄소’와 ‘이산화탄소’의 구분은 화학자들에게나 필요한 것이라고 우긴다. 역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