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자"(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KISTI l2014.04.10
- 유전자가 대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SVP(Short Vegetative Phase)단백질과 결합해, 개화 촉진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해 개화를 늦춘다는 것이다. 겨울 내내 앙상하게 가지만 남아 있던 나무들이 사실 꾸준히 주변을 살피고 수많은 물질들을 만들며 개화를 준비했을 것을 생각하면 새삼 생명 활동의 ... ...
- 박테리아가 유출된 기름을 분해한다?KISTI l2014.03.11
-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과학자들은 이런 유류 분해 미생물들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유류 분해능을 더욱 높인 미생물들을 개발해 산업적으로 이용하고자 연구하고 있다. 이처럼 미생물들을 이용해 독성 화합물을 정화시키고 유해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물질들을 제거, 감소, ...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KISTI l2014.01.16
- 겨울잠을 시작하는 단계의 유전자 발현만 억제된 상태라고 말이야. 이건 다시 말해서,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물질을 대량으로 주입하면 방아쇠가 빵 당겨지듯이 겨울잠에 들 수 있다는 얘기야. 또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도메니코 투폰 교수는 쥐에 특정 물질을 주입해서 겨울잠 회로를 켜는 ...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12.06
- 요소와 결합할 때 자물쇠와 열쇠처럼 조합이 맞아야 반응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유전자의 내부를 검사함으로써 특정 조합을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규명한 것이다. 이들의 연구는 생화학과 유전학이라는 분리된 학문의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처럼 노벨 ... ...
- 창조경제 박람회 스타트업 2013동아사이언스 l2013.12.04
- 아이디어로 창업에 도전하고 있는 스타트업들과 함께, 라식 수술을 위한 아벨리노 유전자 검사 솔루션이나 블록완구・콘텐츠・IT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블록과 같은 창업을 앞둔 예비 창업가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번 대회의 1위 1명(팀)에게는 미래부 장관상 및 상금 3,000만원이 주어지며, 2위 1명(팀 ...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10.10
- 주요 연구 분야인데요, 이 분야가 중요한 이유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마이크로 RNA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해요. 그래서 마이크로 RNA는 유전정보가 형질로 나타나는 데 아주 중요하지요. 유전병의 20% 이상이 RNA 결함으로 발생하는만큼 의학적인 가치고 큰 분야입니다. 마이크로 RNA이 ... ...
- "잘키운 생명공학 인재, 한국판 몬산토 밑거름"동아사이언스 l2013.08.28
- 탄저병 저항 유전자를 보유한 품종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GMO처럼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조작한 게 아니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습니다. 생명공학 분야에서 전통적인 연구 방식이 결코 사라져선 안 되는 이유입니다.” 이지원 과장의 이것만은 '꼭' △ 농업생명공학분야에 ... ...
- 안정성과 유전정보의 다양성 돕는 재조합 기전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3.08.27
-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수십 년간 궁금증으로 남아있던 체세포와 생식세포분열 특이적 유전자 재조합 기전의 명확한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는 궁극적으로 암초기 발생 원인에 대한 과정이나 다운증후군 등 염색체 이상 질환의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위의 내용은 ... ...
- 줄기세포치료 실용화를 위한 부작용 극복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8.21
- 측면에서 완벽하지 않아 기형종이 형성될 우려가 남아 있었다”면서, “동 연구는 유전자 발현억제 화합물을 통해 한 단계 더 발전시킨 것”이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 미래 농산업KOITA l2013.08.20
- 따른 영향과 화석연료(석유)의 고갈에 따른 대체연료 수요의 증가에 대응한 GM(유전자 변형: Genetic Modified)식물 재배의 확대 등 농업과학기술의 변화가 농작물 재배방식의 변화 등 Green BT의 발전을 견인하게 될 것이다. 둘째 분야는, 보건의료 분야로서 소위 Red BT 분야이다. 노령화, 비만 등의 만성질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