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8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김학성 KAIST 명예교수 '2023 효소공학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고성능의 p형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일함수가
조절
되는 성질을 이용해 새로운 트랜지스터를 구현했다. 전하를 옮기는 물질인 ‘전하 운송자’가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배리어층이 최소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3차원 금속이 2차원 금속의 보호막 역할을 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EEC) 섭취한 영양분을 감지해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해 소화와 흡수를
조절
한다(왼쪽). 한편 독소가 들어있으면 장벽의 다른 세포들이 반응해 해독작용을 한다. 알레르기 반응은 이 작용이 빨리 일어나게 하는 방법으로 비만세포(mast cell) 표면의 항체가 독소와 함께 들어있는 단백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익룡 조상 '고대 파충류', 부리·발톱으로 사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19
보았다. 단순히 먹이를 먹는 기관을 넘어 성적인 표현, 의사소통을 위한 울음소리, 체온
조절
과 같은 기능이 부리를 통해 이뤄졌을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확인한 라게르페티드의 모습이 중생대에 살았던 생물종의 다양성과 함께 생존을 위한 치열한 진화를 보여준다 ... ...
[과기원NOW] KAIST, 가상현실 구현하는 나노소재 광학 패터닝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7
결합해 새로운 'p형 공중합체 반도체'도 개발했다. 새롭게 개발한 반도체들의 혼화성을
조절
해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 소자 제작 과정에서 유기 소재 뭉침 현상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제작한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는 58.5㎠의 면적에서도 11.28%의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기록했다. 연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수 있다. 물론 그와 비슷한 효과를 일으키는 다른 기전의 약을 구상해도 된다. 이미 체중
조절
용 약이 개발되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은 그 효과가 완벽하지 못하여 10% 정도 체중을 줄이는 건 많은 사람들에게서 가능하지만 그 후에 요요현상으로 체중이 원래대로 돌아가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
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과정이다. 게놈편집으로 관련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바꿔 반응 네트워크의 흐름을
조절
하면 모노리그놀의 양과 조성을 바꿀 수 있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7가지 전략 골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자들은 제지에 널리 쓰이는 나무인 포플러의 리그닌 생합성 ... ...
[표지로 읽는 과학] 뼈 비율로 직립보행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3
영역에 골격 비율과 연관이 있는 유전자들이 존재한다"며 "이 유전자들이 골격 발달을
조절
하고, 희귀 골격 질환 및 비정상적인 골격 표현형 등에 관여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를 통해 이족 보행을 촉진한 진화의 비밀과 이로 인해 인간이 겪고 있는 근골근계 질환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성장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어른’이 되면 보다 성숙한 지적 능력과 감정, 행동
조절
능력을 기반으로 더 나은 사람이 될 것 같지만 어른들 사이에서도 타인을 괴롭히는 행동들이 나타난다. 오히려 어른들이 저지르는 괴롭힘은 아이들이 하는 것보다 한 층 더 교묘하고 악랄한 양상을 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다양한 미각수용체가 존재해 맛 분자를 감지하면 신호전달물질을 분비해 식욕
조절
등 적절한 반응을 한다. 실제는 세포 하나에 한 종류의 미각수용체만 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네 가지(지방맛수용체도 포함)를 모두 그려 넣었다. 네이처 리뷰스 약물 발견 제공 장세포 실험 결과 아스파탐이 소장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