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스페셜
"
줄
"(으)로 총 1,7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
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중국에서 기원전 1600년 전부터 두개골 절제술을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John W. Verano 제공 ● 통증을
줄
이기 위한 오랜 방법 수술은 ... 『내 몸을 찾아 떠나는 의학사 여행』,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의학편』, 『
줄
기세포로 나를 다시 만든다고?』, 『지못미 의예과』 등이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로움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2024.04.27
선망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나름 외로운 사람들의 사회적 욕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켜
줄
수 있겠으나 이 역시 그 자체로 양질의 관계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자. 양질의 식습관이나 운동하는 습관을 들이는 문제에 있어서도 우리 사회에 단순히 동기가 부족하거나(별로 열심히 하고 싶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것이 당시 정부가 밝힌 의대 정원 감축의 이유였다. 만약 당시에 의대 정원을
줄
이지 않았더라면 수련병원의 인력 왜곡은 지금보다 훨씬 더 심각해졌을 수밖에 없다. 2020년의 공공의대 설립이 무산된 이유도 정확하게 밝혀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고 있던 당시 공공의대 논란의 핵심은 400명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구가 적은 사람과 친해지려는 이유
2024.04.20
많아서 시간이 부족한 사람보다는 친구가 적은 사람이 더 자신에게 많은 시간과 사랑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깊은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도 크다고 본다는 것이다. 비슷하게 외향성이 높은 사람들의 연인들이 생각보다 관계 만족도가 낮다는 발견도 있었다. 만인의 연인인 사람은 나만의 연인이 되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불구하고 루시는 발견 이후 할리우드 스타급 인기를 누렸다. 루시를 보기 위해 박물관에
줄
을 서는 일이 비일비재했으며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을 때 시간을 내어 루시를 관람했다는 건 전 세계 뉴스거리였다. 이같은 관심과 인류학 역사상 루시의 중요성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붉은 색과 노란 색의 화려한 날개를 자랑하는 나비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의 모습을 실었다.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 확인된 나비의 유전자는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
2024.03.23
표현해냈다. 반면 불안정 애착인 사람들은 상대의 어려움에는 공감을 잘 하지만 도움을
줄
때 상대나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사람으로 보이고 싶다는 다소 자기중심적인 목적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돕고 싶은 마음은 크지만 자신감이 없어서 결국 우물쭈물하다가 적절한 말이나 조언을 하는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후의 수련 과정도 부실의 늪에 빠질 수밖에 없다. 갑자기 늘어나는 2000명의 수련의를 받아
줄
병원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질 낮은 교육을 받은 수련의가 넘쳐나는 병원의 진료도 걱정해야 한다. 파격적인 증원 정책을 내놓은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대책은 고작 ‘투자를 확대할 계획’뿐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친구에게 번거롭게 먼 길 오게 해서 미안하다고 했다. 그냥 으레 아니라고 괜찮다고 할
줄
알았는데 친구의 반응은 그런 생각은 해본 적도 없다는 듯 “내가 오고 싶어서 내 발로 왔는데 왜 네가 미안해 해?”였다. 작은 희생에도 ‘내가 너를 위해 이런저런 희생을 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마르티우스’(오늘날의 3월)에서 시작하는 10개월 304일로 구성되어 계절을 제대로 알려
줄
수 없었던 로마력을 개정했다. 그래서 10번째 달이었던 ‘디켐브리스’(오늘날의 12월) 다음에 두 얼굴을 가지고 성문을 지키는 ‘야누스’에서 유래된 ‘야누아리우스’(오늘날의 1월)와 정화(淨化)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