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스페셜
"
지도
"(으)로 총 7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찾던 1981년에 워렌을 만나 이 발견에 대해 상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마샬은 워렌의
지도
를 받아 연구를 진행했다. 1982년에 위염 환자에서 세균을 분리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라 이름붙이고, 이 세균이 위염과 위궤양을 일으킬 것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자 과거의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내 여러 연구기관들의 협력연구체계를 통해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 변화의 ‘분자
지도
’를 만들겠다는 야심찬 목표(https://motrpac.org)를 갖고 있다. 다양한 오믹스 기술들을 종합하여 운동에 의해 변화한 동물 및 인간 샘플 내 분자 변화를 추적하고 그 결과를 일반 대중에 지속적으로 공개해 ... ...
[기후위기와 산림] 기후위기 시대 탄소 역배출로 재조명받는 '숲'
2022.12.22
이어서 지난 11월 개최된 COP27에서는 산림기후 정상회의를 개최해 ‘산림과 기후
지도
자 파트너십(FCLP, Forest and Climate Leader’s Partnership)’을 공식 발족했다. 여기에 한국, 미국, 피지 등 25개국과 유럽연합이 참여해 글래스고 정상선언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진전시키고자 산림전용 중단 약속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숙한 사랑의 토양은 '인내'
2022.11.26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숙한 사람만이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일
지도
모르겠다. 안타깝게도 보통 사람들의 경우 오래 사귈수록 자신도 모르는 사이 상대에 대한 짜증과 불만이 쌓여 연인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형성하게 된다는 발견이 있었다. 물론 여기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노화 또는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들은 쥐의 뇌 3차원
지도
와 그 안의 뉴런 연결을 확인한 과정을 발표했다. 한국인 저자도 눈에 띈다.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컴퓨터 모델링과 광유전학 기능적 자기공명영상(ofMRI)으로 뇌의 회로와 기능 장애를 ... ...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인정받는 것은 멋진 일이다"고 말했다. 그의 사무실에는 자개로 만들어진 한반도의 광석
지도
가 걸려 있다. [편집자주] 최근 국내는 물론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는 기후재앙은 탄소중립을 향한 인류의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탄소중립 ... ...
[프리미엄 리포트] 태풍 힌남노 능가하는 슈퍼태풍 2~3년마다 올 수도
2022.10.15
더욱 정확히 예측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런 과학적 특성을 고려한 태풍 시나리오별 재해
지도
를 만들고 취약한 지점에 방재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대피 훈련과 교육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기후변화 시대에 방재 대책을 전반적으로 강화하는 일은 이제 생존이 걸린 문제다 ... ...
"노벨상 배출 4위 프랑스에선 정답 없는 문제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2.10.15
고등교육기관)"이라며 "4년간 2개의 석사학위를 받아 고위공무원이나 기술리더 등 사회
지도
층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에서도 기초과학 연구자에 대한 처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허 박사는 "서울대, 하버드 등 명문대 물리학과에서 소위 '날렸던' 한국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여의도 면적의 1.5배가 넘는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거제수나무 엽록체 DNA 유전자
지도
.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거제수나무는 백두대간을 따라 600m 이상 높은 산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고산의 서늘한 기후에 적응해 살아가는 거제수나무는 덥고 건조해지는 환경변화에 따라 멸종 가능성이 크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동굴에서 발견된 멸종 인류 ‘데니소바인’의 DNA를 바탕으로 해당 고대인의 유전자
지도
를 해독한 것이다. 당시 데니소바인의 손가락 부분 뼈에서 채취한 손상된 DNA를 재조합했다. 노벨상위원회 제공 고인류 유전체는 인류 진화의 이해 외에도 우리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유전학 연구에도 큰 함의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