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UFO 존재는 확인했다는데…과학자들이 외계인 가능성 낮다고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6.03
인구가 늘어나면 도시의 규모와 에너지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필연적으로 위기
지점
이 생기고 성장이 급속도로 멈추게 돼 결과적으로 문명이 붕괴된다는 이론이다. 이들은 “문명은 붕괴하거나 평형을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것”이라며 “이런 이유로 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2022.06.02
당장 답을 내놔야 한다. 과학으로서의 의학과 구원으로서의 의학 사이에는, 바로 이
지점
에서 긴장이 발생한다. 치료에 대한 즉각적인 희망은 과학으로서의 의학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의 입장에서는 치료의 가능성이 아무리 낮더라고 즉각적인 선택이 합리적이지만, 공공선의 ... ...
에어버스, 차세대 군집위성 '플레아데스 네오' 구축 준비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2.05.24
지구 전역에서 30cm 크기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해상도로 영상촬영을 할 수 있다. 원하는
지점
에 하루 최대 2회 방문해 촬영이 가능하다. 플레아데스 네오 위성은 탄화규소 광학 장치를 장착해 무게를 줄였다. 위성간 레이저 통신 시스템도 구축해 에어버스가 자체 개발한 ‘유럽 데이터 릴레이 ... ...
WMO "5년내 연평균 기온 산업화 전보다 1.5도 넘어설 가능성 50%로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5.10
2022년부터 2026년 사이 전 지구 연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높아지는 해가 발생할 확률이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기상기구 제공 향후 5년 내 ... “1.5도는 임의의 값이 아니라 기후 영향이 사람들과 지구 전체에 점점 더 해를 끼칠
지점
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말했다 ... ...
꽃향기 확산, 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0
포착할 수 있다. 레이저 간섭계는 빛의 파장을 길이의 기준으로 해 기계적인 길이나 2
지점
간의 거리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장치다. 연구팀은 “기존의 향기 측정 방법은 물질 포집 후 질량분석을 통해 양을 측정했기 때문에 꽃이 어떤 주기로 향기를 뿜어내는지 직접 알 수가 없었다”며 “이번 ... ...
헬기에서 떨어지는 로켓 낚아채 재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주 낙하산을 편다. 1단의 속도는 시속 36km(초속 10m)까지 줄어들게 된다. 1단이 예상
지점
에 도달하면 특수 갈고리가 달린 줄을 매단 헬리콥터의 곡예비행이 시작된다. 헬기는 1단 낙하산 위를 스치듯 지나가면서 낙하산에 갈고리를 걸어 낚아챈다. 조종사의 육안과 운전 기술에만 의존하는 고난도 ... ...
중학교 교사 출신 한국인 수학자, 이산수학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6
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하는 순간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상전이’의 정확한
지점
을 추측하는 것을 비롯해 다양한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샤샤 로벳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다양한 속성에 대한 임계값을 계산하려는 조합론의 엄청난 노력을 즉시 줄일 수 있다”고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2) 한국에도 스페이스X보다 먼저 민간발사체 꿈꾼 기업이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현대로템은 우주센터 옆 해발 401m의 봉래산을 이용하기로 했다. 시험설비보다 100m 높은
지점
에 1000t의 물저장 탱크를 설치해 위치에너지로 물을 뿜어내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 조 팀장은 “나로우주센터 인근이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구역이라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며 공사를 하느라 애를 먹기도 ... ...
미국 아르테미스 계획 시작부터 '삐걱' 달 탐사용 로켓 시험 잠정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지점
에 도달해 3주간 달 주변을 비행한다. 향후 오리온 탐사선이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이
지점
에 도달하면 인류가 역사상 지구에서 가장 멀리 비행한 기록을 세우게 된다. SLS는 유인 비행을 하기 전 1단계 계획으로 사람 대신 인형을 태우는 임무를 지난해 수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계속된 개발 ... ...
'지름 136km' 역대 가장 큰 혜성 태양계로 접근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고체 핵의 크기를 알아내기 어렵다. 연구팀은 허블이 촬영한 사진에서 밝은 빛을 내는
지점
을 특정한 후 전파 관측에서 알아낸 밝기를 분석해 핵의 크기를 특정했다. C/2014 UN271 이전 발견된 혜성 중 가장 큰 혜성은 2002년 발견된 ‘C/2002 VQ94’로 지름이 약 96km였다. 지구를 약 75년 주기로 도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