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역
역행
퇴보
위축
뒷걸음
후퇴
상반
스페셜
"
퇴행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꿔 뇌질환 극복한다…김종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정부는 2017년 12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한 정책을 내놓기도 했다. 김종필 교수는
퇴행
성 뇌질환에 걸려 고장난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는 없지만 여분의 체세포를 신경세포로 교체하는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비교적 쉽게 재생되는 피부세포와 달리 한번 손상된 신경세포는 재생이 어렵다. ... ...
'뇌 속 독성 산소' 영향받는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6일자에 발표했다. 치매는 대표적인
퇴행
성 뇌질환으로, 치매가 일단 진행되면 뇌 속 신경세포가 죽으면서 인지능력의 쇠퇴가 일어난다. 이 단계가 되면 치매의 진행을 늦출 수 있을 뿐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어, 신경과학자들은 신경세포 사멸이 일어나는 ... ...
‘뇌전증 치료제’·닥터앤서 등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개발이 선정됐다. 생명·해양 분야에서는 SK바이오팜 외에 콜레스테롤 대사이상이
퇴행
성관절염의 원인을 규명한 류제황 전남대 교수의 연구성과가 최우수성과에 꼽혔다. 류 교수의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에너지·환경 분야의 경우 2차원 소재 기반 다기능성 투명 ... ...
[과학게시판] 제1회 과학기술미래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24
한국물리학회 등 과학기술 분야 9개 학회가 참석했다. 권재영 성균관대 교수가
퇴행
성 뇌·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을, 이윤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가 노화개선·극복을 위한 다학제간 융합기술을 발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의 디지털 뉴딜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슬픈 질병 ‘
퇴행
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퇴행
성 뇌질환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퇴행
성 뇌질환의 치료 약물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한다 ... ...
“코로나와 공존하는 박쥐에게서 극복 전략을 배우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소개했다. 고부노바 교수는 “이같은 비교생물학을 통해 노화를 억제하고
퇴행
성 질환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며 “안전성이 확인된 연구 결과물들을 임상에 적용해 더욱 발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美의학한림원 회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류의 가장 큰 적은 병든 노년의 삶"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높아지면 사회가 부담해야 하는 의료 비용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자우 회장은
퇴행
성 난치 질환 치료가 쉽지 않다면 예방을 위한 접근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유전체학과 분자세포생물학과 같은 의생명공학과 디지털 정보혁명을 융합해 궁극적으로 기대수명뿐만 아니라 건강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새삼 씁쓸하게 느껴진다. 단백질 섬유가 쌓여 신경세포가 죽으면서 발생하는 신경
퇴행
성질환 역시 상분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루게릭병의 경우 상분리로 액체방울을 이루는 RNA와 TDP-43 단백질의 상호작용에 변화가 생기면서 촉발된다. TDP-43 단백질이 RNA를 배제하고 ... ...
건강한 피, 뇌졸중을 치료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일어난 후 발생하는 면역 반응을 바꾸는 것”이라며 “혈액 기반 치료법이 노화와 신경
퇴행
성 질환과 싸우는 치료제로 등장하고 있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젊고 건강한 이의 피를 노화나 치매 치료제로 쓴다는 개념은 2005년 부부 사이인 마이클 콘보이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코로나19 중증과 경증, 면역세포 기능이 가른다
연합뉴스
l
2020.08.07
결함이 많다는 게 요지다. 이번 연구엔 독일의 베를린 샤리테 의대, 본 대학, 신경
퇴행
질환 센터(DZNE), 감염병 연구 센터(DZIF) 등 다수의 연구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했다. 관련 논문은 저널 '셀(Cell)'에 실렸다. 7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WHO(세계보건기구)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