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스페셜
"
해결
"(으)로 총 1,90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GTP 대신 변이 라스 단백질에 달라붙어 활성 구조로 바뀌지 않게 하는 분자를 만들면
해결
될 것 같은데 세포 내 GTP 농도가 워낙 높아 이런 식의 경쟁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변이 라스는 ‘치료제를 만들 수 없는 단백질(undruggable protein)’이라는 반갑지 않은 별명까지 얻었다. 라스 단백질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수술이 크게 발전하지 못한 것은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해결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지난 글에서 소개한 무균처리법이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4017 참조) 1865년에 리스터(Joseph Lister)가 수술실을 소독하는 방법으로 수술후에 발생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의대 쏠림을 말끔하게
해결
하는 묘책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버려야 한다. 과학기술계도 의대 교육을 강화하고 의료 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개혁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과기원NOW] KAIST, '인구 위기를 과학기술로 극복'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Crazy Day' 홍보 포스터. KAIST 제공 ■ KAIST는 국가적 당면 과제인 인구 위기를 과학기술로
해결
하기 위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KAIST Crazy Day'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의 주제는 ‘인구 위기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의 활용 아이디어’다. 18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 제안서를 접수한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설익은 의료개혁은 손질을 할 수밖에 없다.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런을
해결
하기 위해서 '의대 증원'을 할 수밖에 없다는 보건복지부의 주장은 처음부터 설득력이 없는 궤변이었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위기도 스위트오렌지처럼 다른 종임에도 향기 프로파일이 비슷한 커피나무가
해결
할 수 있을지 모른다. 바로 서아프리카에 자생하는 좁은잎커피나무다. 100여년 전 이 일대에서 재배하기도 했던 좁은잎커피나무는 아라비카가 널리 재배되면서 경쟁에서 밀려났고 지금은 야생화돼 자생하고 있다.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홈페이지에서 보면 된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사회문제
해결
을 위한 소리 데이터 활용을 다룬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이슈브리프에서는 소리 데이터의 활용을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과 체계적인 구축이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데이터 수집과 공유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것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훌륭한 착상이었지만 리스터는 문제제기만 정확히 했을 뿐
해결
책을 제시할 능력은 없었다. 그래서 수술후 발생하는 이차감염을 예방하겠다는 생각을 더 발전시키지는 못했다. 어느 날 리스터는 흥미로운 소식을 들었다. 한 목장에서 가축이 갑자기 감염병으로 죽어가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을 걱정해야 한다. 어설픈 ‘여론조사’를 믿고 의료 대란을 서둘러
해결
하지 못하면 총선에도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정부가 입장을 바꿔야 한다. 필수·지역·공공의료의 심각한 현안을 바로잡을 직접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10년 후에나 활용이 가능한 의대 증원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중간 단계인 과산화칼슘(CaO2)이 되게 하는 양극재와 전해질의 조성을 찾아 이 문제를
해결
했다. 이 과정에서 산소원자 사이의 결합을 끊는 반응이 필요없을 뿐 아니라 충전 과정에서 역의 반응도 쉽게 일어나 상온에서 가능하다. 이는 실용성과 안전성의 면에서 중요한 진전이다. 연구자들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