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d라이브러리
"
다음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쥐불놀이에 숨어있는 눈의 속임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눈. 수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뇌로 전달해주지만, 때로는 움직이는 물체에 쉽게 속아넘어가기도 한다. 생활 주변에서 눈의 이런 성질을 잘 이용한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과연 어떤 것일까.정월 대보름날. 모험이와 슬기는 시골에 계신 할아버지, 할머니 댁에 놀러갔다. 반 ... ...
휴전선 국기 높이 달기 경쟁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발명가는 오직 아이디어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그러나 간단한 아이디어의 경우, 무단 사용이나 도용의 위험성도 크다. 자신이 발명한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순간 그의 아이디어는 공개된 정보가 되기 때문이다. 발명가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뜻이 ...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소화에 대한 연구로 가장 유명한 사람은 파블로프다. 그는 소화의 생리적 메커니즘을 연구해 190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런데 파블로프보다 훨씬 앞서 소화 메커니즘을 연구한 학자가 있었는데….19세기 초반까지 소화가 어떻게 되는가, 즉 소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새나 개 같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2001년도 이공계 대학 진학을 위한 심층면접 내용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단순히 교과서에서 암기한 지식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과학분야에 대한 통합적 사고를 요구하고, 실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을 강조한 질문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1월 15일 치러진 서울대 심 ... ...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정월대보름에는 보름달을 바라보며 한해의 소원을 비는 풍습이 있다. 이번 대보름달은 이름에 걸맞게 크기가 올해 가장 크다. 커다랗게 두둥실 떠오른 대보름달을 바라보며 우리 모두 커다란 소원을 빌어보자.추운 겨울이 마지막 기승을 부리는 2월. 2월의 밤하늘은 겨울 별자리들과 밝은 행성들이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일본에서 처음 시작한 감성공학은 국내에도 일찍 알려져 이미 다른 선진국보다 빠르게 시작됐다. 1995년 시작한 G7 감성공학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미래를 내다보고 남보다 앞서서 시작한 감성공학에 대한 연구는 과연 어디까지 왔을까.자동차를 타고 집안에 들어서자 차고문이 자동으로 열린다. 차 ...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유클리드 기하원본에 소개된 호제법이다.놀랍게도 구장산술 첫장에 나오는 단순한 분수 계산의 풀이법에 이런 유클리드 호제법과 동일한 방법이 소개돼 있다.지난호에서 우리는 ‘구장산술’이 동양 최초의 수학서이면서 후대에 미친 영향이 지대했다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얼마 전까지만 해도 네티즌하면 가장 신세대고, 첨단을 달리는 젊은이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이제는 그들도 구세대가 되고 있다. 2001년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멀티즌 때문. 최첨단으로 무장한 멀티즌의 세계를 따라가보자.컴퓨터를 앞에 두고 말없이 키보드만 두드리던 ‘침묵의 시대’는 끝난 것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만테냐는‘신혼의 방’벽화 작업을 10년 만에 완성한다. 그는 천장 복판에 컴퍼스와 눈금자로 그리는 선형 원근법을 이용해 동심원을 그리고 우물 구멍처럼 뚫려 보이는 무한대의 공간을 창조했다. 천장과 지붕 대신 하늘 우물이 뚫려 있고, 그 위로 흰 구름이 둥실 떠간다. 신혼의 방에 들어선 사람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꽉 막힌 도로에서 운전하다 보면 앞에 있던 차량이 무리하게 옆 차선으로 이동하는 것을쉽게 볼 수 있다. 자신의 차선보다 빠르다고 느끼는 옆 차선으로 옮기기 위해서다.과연 그 느낌은 맞는 것일까. 또 이유없이 길이 막히는 이유는 무엇일까부산에서 명절을 지내고 서울로 올라오는 차안의 박모 ... ...
이전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