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51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혁명은 최고 과학기술혁명 될 것"
2015.10.20
전망이 나왔다. 2001년 노벨
화학
상 수상자인 노요리 료지(野依良治) 전 일본이
화학
연구소(RIKEN) 이사장은 “지구상에 있는 자원은 유한하기 때문에 기존 방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물인터넷이 보편화하면 소규모 발전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가 ... ...
‘新유전자 가위’로 고친 식물, GMO 논란 無
2015.10.20
만드는 데 성공했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 연구단 단장팀(서울대
화학
부 교수)은 최성화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개조해 외부 DNA를 쓰지 않고도 벼, 담배, 상추 등 농작물의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교정했다고 19일 밝혔다. ... ...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까지 살아남을 방법을 고민한다. 식물학자인 마크는 전공을 살려 감자를 키우기로 했고
화학
지식을 총동원해 농사에 필요한 물을 자체 생산한다. 농사가 잘 돼 희희낙락하지만 폭발사고로 감자밭이 날아가면서 시간과의 싸움이 시작된다. 화성의 위성 사진을 분석하다 우연히 마크가 살아있다는 ... ...
‘톡톡’과 ‘꾹꾹’ 압력 차이 구분하는 인공 피부 나왔다
2015.10.18
사람 피부와 닮은 인공피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김대형 서울대
화학
생물공학부 교수팀은 ‘스마트 인공피부’를 개발해 촉각 신호를 생쥐의 뇌에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 8월에는 조영호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이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 ...
다공성물질로 이산화탄소 꽉 잡는다
2015.10.16
저렴한 가격에 처리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윤경병 서강대
화학
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잡는 새 다공성물질 ‘SGU-29’을 개발해 ‘사이언스’ 16일 자에 발표했다. 다공성물질은 내부에 구멍이 무수히 많은 물질로 촉매 등에에 많이 쓰인다. 주사전자현미경(SEM ... ...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댐 주변의 메탄 가스의 주요 원인이 댐으로 형성된 저수지라는 점을 시사한다. - 미국
화학
학회(ACS) 제공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댐 개수로는 세계 7위, 댐 밀집도로는 세계 1위다. 그런데도 여기에 추가로 지어질 계획인 댐만 10개가 넘는다. 4대강 ... ...
“서울대·KAIST·포스텍에서 노벨상 수상자 안 나온다”
2015.10.14
촉매 반응을 발견한 공로로 2001년 노벨
화학
상을 받았다. 2003년부터 올해 3월까지 일본 이
화학
연구소(RIKEN) 이사장을 지낸 일본 과학계의 핵심인물이다. 그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이 주최한 ‘글로벌 리서치 심포지엄’에 연사로 초청돼 한국을 찾았다. 노요리 센터장은 일본 과학자들이 노벨 ... ...
“발암물질 공격 막아라” 세포의 반응 한 눈에 살핀다
2015.10.13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 생
화학
학술지인 ‘더 저널 오브 바이오로지컬 케미스트리'(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에 실렸다. ... ...
레이저 쪼였더니 녹슨 금속이 원래대로 말짱
2015.10.12
필름(②). 환원제에 적신 산화구리 나노와이어 필름에 집광된 레이저 빔의 모습(③). 광열
화학
반응에 의해 다시 구리 나노와이어로 환원된 모습(오른쪽 반원). - 고승환 교수 제공 개발된 공정을 활용하면 녹이 슨 구리라도 다시 환원시켜 몇 번이든 재활용할 수 있다. 또 환원반응 후 생기는 ... ...
60배 더 잘 늘어나고, 470배 더 튼튼한 태양전지
2015.10.12
어려웠다. 글로벌프론티어 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의 김범준 KAIST 생명
화학
공학과 교수와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유기태양전지에 사용되던 풀러렌을 고분자로 대체해 내구성을 기존 대비 470배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발전 효율도 함께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 ...
이전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