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06
때문이다.독도 생태계를 잘 보존하는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은 노력은 독도를 지키려는
우리
들이 해야할 몫이다. 이를 위해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자생적인 연안 생태계 보존 방법을 강구하면서 독도에 대한 학술조사가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 주길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06
공간해상도가 다중분광영상의 해상도보다 최소 4배 이상 좋다는 것이다.아쉽게도
우리
의 아리랑 위성은 공간해상도 6.6m급 흑백 영상 촬영에 그치고 있다. 이 때문에 해상도 6.6m급 컬러영상을 제공하려면 다중분광영상을 따로 사올 수밖에 없다. 다행히 내년에 발사될 아리랑 2호 위성은 이런 문제를 ... ...
태양계 밖 행성 첫 촬영
과학동아
l
200406
대학원생 존 뎁스는 “별이 너무 밝으면 주위 행성을 볼 수 없다”며 “따라서
우리
는 별빛이 약한 백색왜성 7개를 추적했는데 그중 3개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천체의 존재를 포착했다”고 말했다.그러나 이번 관측이 1백% 확실한 것은 아니다. 진짜 행성이 아니라 지구에서 볼 때 우연히 백색왜성과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06
e메일을 보냈다. 정 총장은 메일에서 “서울대의 개혁은
우리
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명운이 걸려 있는 문제”라며 “서울대에 대한 정부의 획기적 투자가 어려운 상황에서 양질의 교육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구조조정이 가능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두 대학의 이같은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06
효과 등이 확인됐다.민간에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것은 모두 연구대상이 될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의 임상결과가 중요한 실마리인 것이다. 하나의 식물에 든 1천가지 성분 가운데 3백가지 성분이 추출 가능한데, 이들 성분에서 다양한 약효성분을 찾을 수 있다. 문제는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느냐에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06
알 수 있었다. 그러면 어떻게 해서 이렇게 여러가지 진동수의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일까.
우리
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실로폰을 먼저 생각해보자. 실로폰은 적당한 길이로 금속을 자른 다음 막대로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실로폰의 건반 위에 쌀이나 소금을 올려놓고 살살 쳐보면 건반의 가운데에는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06
현상이 계속된다. 따라서 좀더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은 저녁 무렵이다. 평소에도
우리
는 지는 태양을 손쉽게 쳐다볼 수 있다. 태양이 지평선에 너무 붙어 있을 경우엔 대기 문제로 뚜렷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을 때는 눈으로 보기에도 그리 밝지 않고 또 태양도 크게 보이는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06
손대지 않고 해수면을 높이를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다면 모를까….슬기 : 말도 안돼!
우리
가 신도 아닌데, 어떻게 수면을 저절로 움직이게 해요?모험이 : 음…, 내게 좋은 생각이 있어. 슬기야, 엄마가 어제 홈쇼핑에서 주문한 진공용기를 사용해보자.모험이와 슬기는 과연 포세이돈의 요구조건을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06
한국과학문화재단과 동아일보, 동아사이언스는 청소년들이 과학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앰배서더 과학강연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 8-40배의 시력을 갖고 있어 멀리서 다가오는 것도 사람보다 훨씬 잘 본다. 이런데도
우리
는 과연 새에게 ‘새대가리’ 라는 말을 붙일 수 있는 것일까 ... ...
문자 메시지 촉감으로 이해한다
과학동아
l
200405
벗어나도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에크밀러 교수는 “눈과 경쟁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
가 관심있는 것은 ‘한시간 이내에’ 와 같이 몇개의 단어로 된 짧은 글을 하나의 감각 단위로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다” 라고 설명했다. 또한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정보전달 수단이 될 수도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