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환경 전사, 레버쿠젠에 모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축구팀 ‘바이엘 레버쿠젠’을 소개하는 곳일까?국내에는 바이엘이 아스피린을
개발
한 제약 기업으로만 잘 알려져 있다. 2006년 독일 월드컵 공인구인 ‘팀가이스트’와 유로 2008 공인구인 ‘유로패스’가 바이엘의 첨단재료와 설계기술로 만들었다는 걸 아는 사람은 드물다.사실 바이엘은 다양한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발견됐다고 하자. 이 단백질을 제어하는 약물을
개발
하려면 활성부위를 찾아 활성을 막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알아야 한다. 김 교수는 “구조를 모르는 단백질이라도 아미노산 서열만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백질과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힐스만 박사팀은 다리와 신발을 스캔해 가상으로 신발을 갈아 신을 수 있는 가상거울을
개발
했고, 이 기술을 최근 의류까지 확대했다.힐스만 박사는 “가상거울은 옷이나 신발뿐 아니라 안경이나 보석 등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무궁무진하다”며 “아직은 쇼핑객이 입은 옷의 색이나 무늬만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등 외국에 무인관측기지를 설치하고 해외도입이 여의치 않은 우주감시기술을 상당 부분
개발
해 지구접근천체를 탐지하고 궤도를 추적하고 있다.하지만 지구접근천체 연구는 국제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국가가 맡아 감시하기에는 태양계가 너무 넓다. 세계 도처에서 획득한 관측 자료를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동물이 있는 곳에서는 신호가 강해져 위치를 알 수 있다.❹ 위성항법장치(GPS) 이용최근
개발
된 추적기는 GPS 장비와 연결돼 휴대폰이나 컴퓨터로 쉽게 추적할 수 있다.2.“야생동물을 조심하세요.”- 사고 경고 내비게이션!환경부는 올해부터 자동으로 찻길동물사고 경고를 내보내는 내비게이션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다.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전두엽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뇌 훈련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면 외모지상주의나 인종차별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공헌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김학진 교수 > 고려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대에서 석사를, 위스콘신주립대에서 심리학으로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보여 아쉽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지금 당장 우주에서 쓸 수 있는 고성능 메모리를
개발
한 우리나라가 한없이 자랑스러워지는 순간이었다.편집자 주이번 호를 끝으로 ‘이소연 박사의 생생 우주 실험보고서’는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이소연 선임연구원 >KAIST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입사해 현장에서 실습하고 있다. 김 교수는 “미국에 있는 동문기업이자 소프트웨어
개발
사인 ‘이미지솔루션’에서 학기 중에 인턴으로 활동할 수 있다”며 “2006년 2학기부터 매학기 1~3명씩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등학생 발길도 끊이지 않고 있다. 그는 “매년 국내뿐 아니라 중국에서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때문이다. 연구단은 특정 위치에서만 나노막대와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개발
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결정 성장 방향 제어가 중요“결정이 자라려면 구성원소가 기존 결정이나 물질에 달라붙어야 합니다. 눈 결정이 자라려면 먼지 같은 핵이 필요한 이유죠.” 연구단은 산화아연이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차원 연구로 옮겨가고 있다. 서 교수는 이 분야에서도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애초 램스
개발
목표로 삼았던 2011년까지 3년이나 남았지만 서 교수는 마음이 급하다. 현재 베타버전인 램스를 가능한 빨리 상용 버전으로 바꾸고 싶다. 해석 능력은 95% 완성됐지만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쉽게 쓸 수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