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이완함으로써 눈동자가 커지거나 작아져서 빛의 양을 조절한다.홍채로 덮이지 않은 중앙 부분을 동공이라고 한다. 눈 색깔은 홍채의 색깔이다. 동양인은 진한 갈색이고 서양인은 푸른색이다. 홍채의 둘레에는 흰자위가 있는데 안구를 둘러싸는 공막이 밖으로 나와서 보이는 것이다. 홍채 뒤에는 ... ...
- 하늘에서 가장 긴 별자리과학동아 l1999년 03호
- 겨울 내내 찬란하던 1등성들이 서쪽하늘로 물러나면 초봄의 밤하늘에는 황량함이 느껴질 만큼 밝은 별이 적다. 사자와 처녀가 떠오르면 레굴루스와 스피카를 ... 한다. 동양에서는 컵자리 지역이 봉황의 날개인 익(翼), 까마귀자리는 ‘봉황의 꼬리’ 부분으로 28수의 마지막인 진(軫)이다 ... ...
- ④ 과학교육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말들은 “아! 이렇게 좋은 우리말도 있구나”라며 무릎을 치게 하는 것도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많은 용어들은 우리말과 같다. 언어에 있어서의 차이는 남한에 지방 방언이 조화롭게 존재하는 것처럼 통일에 있어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으리란 전망을 감히 해본다.이제 통일을 앞두고 남북한 ...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바이오칩이 탄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의 바이오칩이 만들어지려면 여러 부분의 과학기술이 통합돼야 한다. 유전자조작 기술과 소자설계기술, 그리고 생체분자박막 제조와 분자 배열기술이 그것이다 ... ...
- 밀레니엄 버그 ABC과학동아 l1999년 03호
- Del키나 F2키를 누르면 셋업 화면으로 들어간다. 셋업 화면의 메뉴에는 날짜를 지정하는 부분이 있다. 이곳을 2000년 이후로 바꿔보자. 바꿀 수 있다면 Y2K 문제는 없는 셈. 바이오스 셋업을 저장하면(보통 ESC키를 누르면 저장할 것인지를 물어보는데 Yes를 선택하면 됨), 컴퓨터가 다시 부팅된다.윈도95나 ...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과학동아 l1999년 03호
- 가시광선만 사용해 관측했으므로 별들 사이의 티끌에 가려져 있는 우리은하의 다른 부분을 보지 못했고, 결국 태양이 우리은하의 외곽에 있다는 사실은 알 수 없었던 것이다.우리은하의 크기와 태양의 실제 위치는 할로 새플리(Harlow Shapley)에 의해 수정됐다. 그는 미국의 윌슨산 천문대 60인치 ... ...
- ③ 과학기술용어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알고 있는 것을 표준말로 쓰고 있는 셈이다. 남한에서 비장(지라)이라 불리는 인체의 부분명칭은 북한에서 ‘기레’인데, 이것은 원래 평안도 사투리이다. 이처럼 북한 과학기술용어가 남한과 다른 것은 용어를 정의하거나 우리말로 바꾸는 과정과 함께, 표준말과 맞춤법의 근본적인 차이에서 ... ...
- 인터넷은 핵폭탄이 안겨준 선물?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이 방식에선 여러 조각으로 나뉜 자료들을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하므로, 없어진 부분만 따로 신호를 보내 받으면 되는 것이다.지구 곳곳을 전산망을 통해 서로 맞물리게 해주는 인터넷. 이를 탄생시킨 혁신적인 개념이 가상 핵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궁리하다가 나왔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 ...
- 화제의 의자 듀오백 인기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연구투자 끝에 우리체형에 맞는 제품으로 개발한 것. 듀오백의 가장 큰 특징은 등받이 부분을 두 개로 분리해 어떤 자세에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점. 탄력있는 등받이가 허리 옆을 감싸 척추가 휘는 척추만곡증을 예방한다. 장시간 앉아있어도 편안하고, 육체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는 ... ...
- 잘 보는 것은 뇌 때문과학동아 l1999년 03호
- L세포 세 가지가 있다. 뚜렷한 상을 맺는 망막의 부분들은 파란빛을 볼 수 없다. 대부분의 원추세포들은 M세포와 L세포로 구성됐기 때문이다.그런데 이들 원추세포들의 조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별로 없었다. 정상인 2명과 색약인 1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정상인 한사람은 M세포와 L세포의 ... ...
이전597598599600601602603604605 다음